지방의회의원선거법위반

사건번호:

91도3176

선고일자:

1992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신이 발행 및 편집하는 신문에 특정인이 지방의회의원으로서 적격자라는 취지의 기사를 게재하여 관내 주민들에게 배포한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자신이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있는 주간지역신문에 특정인이 지방의회의원으로서 적격자인 것처럼 기사를 게재하여 관내 주민들에게 배포한 행위는 언론, 출판의 자유의 한계와 업무의 범위를 넘어 특정인을 당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180조 제1항 제1호, 제3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1.11.22. 선고 91노258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인용의 제1심판결이 든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범죄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피고인이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있는 주간 강남신문에 특정인이 지방의회의원으로서 적격자인 것처럼 판시와 같은 기사를 게재하여 관내주민들에게 배포한 행위는 언론, 출판의 자유의 한계와 업무의 범위를 넘어 특정인을 당선시키기 위한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 할 것이므로 원심이 피고인의 행위에 대하여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180조 제1항 제1호, 제39조 제2항, 제1항을 적용한 것은 정당 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배포, 선거법 위반일까?

평소처럼 발행하던 무료 지역신문에 선거 관련 기사를 싣고, 기존 방식대로 배포했다면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

#지역신문#선거기사#배포#통상적 방법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발행인의 선거법 위반 논란

지역 신문 발행인이 평소보다 훨씬 많은 부수의 신문을 찍어 선거에 출마할 예정인 경쟁 후보를 비판하는 기사를 싣고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선거법 위반#신문 과다 배포#경쟁 후보 비판#통상방법 위반

형사판례

선거철 신문 배포, 조심하세요! 뿌린 만큼 책임도 따라옵니다.

선거 후보자에게 불리한 기사를 실은 신문을 평소보다 많이 인쇄하여 특정 정당에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광고 수주 목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선거법 위반#후보 비방 기사#신문 배포#특정 정당

형사판례

선거운동 기간 중 인쇄물, 광고 배포 금지,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요!

선거운동 기간 중 법으로 정해진 방법 외의 인쇄물, 광고 배포를 금지하는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선거법위반#인쇄물배포#유죄#상고기각

형사판례

노동조합 특보 배포, 선거법 위반?

노동조합이 선거 직전에 선거용 특보를 조합원들에게 배포한 행위는 선거법 위반이다. 단순한 소식지 형태의 특보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예외 규정을 적용받을 수 없으며, 노조의 선거운동 자유에도 제한이 있다.

#노동조합#선거 특보#선거법 위반#불법 선거운동

형사판례

선거 앞둔 이익 제공, 특정 후보 없어도 처벌될까?

미래 선거에서 특정 후보자가 정해지지 않았더라도, 그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금품이나 이익을 제공하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선거운동#금품제공#처벌#특정후보자 불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