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식품위생법위반

사건번호:

91도671

선고일자:

1991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입 소갈비를 국내산 소갈비인 것처럼 속여서 판 행위를 사기죄로 인정한 사례 02. 수입 박스갈비를 절단하여 고객이 원하는 용량을 저울에 달아 판매한 경우, 구 식품위생법시행규칙(1987.3.28. 보사부령 제798호) 제5조 별표1 소정의 표시대상 식품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수입 소갈비를 국내산 소갈비인 것처럼 속여서 판 행위를 사기죄로 인정한 사례. 나. 수입 박스갈비를 절단하여 고객이 원하는 용량을 저울에 달아 판매한 경우, 이는 구 식품위생법시행령(1986.11.11. 대통령령 제1200호) 제7조 소정의 영업종류 중 그 제4호의 식품판매업의 판매대상인 식육에 해당하는 것일뿐이고, 제7조 제1호 마목에 정한 식육제품, 같은 호 저목에 정한 식품소분업의 제품이 아니고 또 용기 또는 포장에 넣어진 식품도 아니며 달리 구 식품위생법시행규칙(1987.3.28. 보사부령 제798호) 제5조 별표1 소정의 표시대상 중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식품위생법 제10조 제1항, 제21조, 구 식품위생법시행령(1986.11.11. 대통령령 제1200호) 제7조, 구 식품위생법시행규칙(1987.3.28. 보사부령 제798호) 제5조 별표 1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및 검사 【변 호 인】 변호사(사선) 윤승영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0.9.28. 선고 90노4011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1. 변호인의 상고이유 제1 내지 제3점을 함께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 때 원심이, 피고인이 판시와 같이 수입소갈비인 판시 “피코크갈비로스” 350키로그램을 국내산 소갈비인 것처럼 속여서 팔았다는 판시 사기 범행을 유죄로 인정 처단한 제1심판결을 유지한 것은 이를 수긍할 수있고 그 증거취사 및 사실인정과정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 채증법칙위반 또는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없으며 또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이 인정되는 이상 피해자들의 성명이 밝혀지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사기죄의 성립에 영향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심의 위 조처에 소론이 주장하는 심리미진이나 사기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2.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판매한 수입갈비는 수입박스갈비를 판시 크기로 절단하여 피코크갈비로스라는 상품명으로 고객이 원하는 용량을 저울에 달아 판매한 것으로서 이는 구 식품위생법시행령(1986.11.11. 대통령령 제1200호) 제7조 소정의 영업종류중 그 제4호의 식품판매업의 판매대상인 식육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고 위 시행령 제7조 제1호 마목에 정한 식육제품, 같은령 제7조 제1호 저목에 정한 식품소분업의 제품이 아니고 또 용기 또는 포장에 넣어진 식품도 아니며 달리 구 식품위생법시행규칙(1987.3.28. 보사부령 제798호) 제5조 별표1(식품 등의 표시기준) 소정의 표시대상 중 어느것에도 해당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피고인이 판매한 식품이 위 규칙 소정의 표시대상임을 전제로 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부분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기록과 관계법령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의 위 인정과 판단은 이를 수긍할 수 있으며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없다. 3.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식당에서 파는 소갈비, 원산지 표시해야 할까요?

식당에서 조리하여 판매하는 수입 소갈비는 농수산물가공품에 해당하지만, 당시 법령상 원산지 표시 대상 품목으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원산지 표시 의무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수입 소갈비#원산지 표시#농수산물가공품#무죄

형사판례

수입 소갈비 섞인 갈비세트, 수입식품 표시 의무 없다?

국내에서 제조, 가공업 허가를 받은 업체가 수입 소갈비를 원료로 사용하여 갈비선물세트를 만들 경우, 이는 수입식품이 아닌 일반식품으로 분류되어 수입식품 표시 의무가 없다는 대법원 판결.

#갈비선물세트#수입 소갈비#수입식품 표시 의무 없음#대법원

형사판례

굴비 원산지 속인 업체, 사기죄로 처벌될까?

중국산 참조기를 국산으로 속여 판매한 굴비 유통업체 관련 사건에서, 대법원은 원산지 표시 위반은 인정했지만 사기죄에 대해서는 피해액 산정 및 피해자 특정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기죄 부분을 파기환송했습니다.

#굴비#원산지 허위표시#사기죄#파기환송

형사판례

2만원 점심에 진짜 영광굴비를 기대했나요? 원산지 속여도 사기죄 아닐 수 있다!

식당 주인이 메뉴판에 원산지를 속여서 손님들에게 음식을 팔았어도, 손님들이 그 표시만 믿고 식당을 이용했다고 보기 어려우면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원산지표시#사기죄#영광굴비#부세

형사판례

"한우만 팝니다!" 광고 후 수입산 쇠고기 팔면 사기죄?

한우만 판매한다고 광고한 후 수입 쇠갈비를 판매한 음식점 주인에게 사기죄가 인정되었습니다. 당시 법령상 음식점에서 조리·판매하는 쇠갈비는 원산지 표시 의무 대상이 아니었지만, 소비자를 기망하여 이익을 취한 행위는 사기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한우#수입 쇠갈비#허위 광고#사기죄

형사판례

중국산 고춧가루를 국산으로 둔갑시켜 수출하면 처벌받을까?

중국산 고춧가루를 한국산으로 둔갑시켜 수출할 때, 원산지 증명서를 위조하지 않고 따로 제출했더라도 대외무역법 위반에 해당한다.

#중국산 고춧가루#한국산#원산지 위장#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