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조품제조판매전시등금지가처분

사건번호:

91마613

선고일자:

19920229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구 부정경쟁방지법(1991.12.31. 법률 제44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5호 후단의 “상품에 그 상품의 품질, 내용, 제조방법, 용도 또는 수량의 오인을 일으키는 표지를 하거나 이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 등을 하는 행위”의 의미와 타인이 생산, 판매하는 상품과 동일한 형태의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행위가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부정경쟁방지법(1991.12.31. 법률 제44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5호 후단의 “상품에 그 상품의 품질, 내용, 제조방법, 용도 또는 수량의 오인을 일으키는 표지를 하거나 이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 등을 하는 행위”란 상품의 속성과 성분 등 품질, 급부의 내용, 제조가공방법, 효능과 사용방법 등의 용도에 관하여 일반 소비자로 하여금 오인을 일으키는 허위나 과장된내용의 표지를 하거나 그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하는 등의 행위를 말하고, 타인이 생산, 판매하는 상품과 동일한 형태의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행위는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구 부정경쟁방지법(1991.12.31. 법률 제44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5호 후단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주식회사 한국코베아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광규 【원심결정】 서울고등법원 1991.9.11. 자 91라78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구 부정경쟁방지법(1991.12.31. 법률 제4478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 제2조 제5호 후단에서 규정한 “상품에 그 상품의 품질, 내용, 제조방법, 용도 또는 수량의 오인을 일으키게 하는 표지를 하거나 이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 등을 하는 행위”란 상품의 속성과 성분 등 품질, 급부의 내용, 제조가공방법, 효능과 사용방법 등의 용도 등에 관하여 일반 소비자로 하여금 오인을 일으키는 허위나 과장된 내용의 표지를 하거나 그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타인이 생산, 판매하는 상품과 동일한 형태의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행위가 같은 법 제2조 제5호 후단에 규정된 “상품에 품질, 내용, 제조방법, 용도 또는 수량의 오인을 일으키는 표지를 하거나 이러한 표지를 한 상품을 판매한 행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는 없다 . 같은 취지의 원심결정은 정당하고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박우동(재판장) 김상원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유명 캐릭터 따라하기, 안 돼요!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이미 널리 알려진 캐릭터와 비슷한 그림을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상품이라도 판매하는 것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 또한, 유명 캐릭터를 모방해서 상표권을 등록한 뒤 이를 방패 삼아 사업하는 것도 부정경쟁행위로 인정된다.

#캐릭터#유사상품#부정경쟁행위#상표권남용

형사판례

상품 형태 모방, 언젠 불법일까?

특허나 디자인권으로 보호받지 않는 상품 형태를 모방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됩니다. 하지만, 해당 형태가 오랜 기간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널리 알려져 소비자들이 특정 회사의 제품이라고 인식할 정도로 특별해진 경우에는 부정경쟁으로 간주되어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상품 형태 모방#부정경쟁방지법#소비자 인식#독점적 사용

형사판례

짝퉁 상품과 부정경쟁, 어디까지 처벌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상품과 유사한 상표를 등록해서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는 부정경쟁행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상표권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정당한 것은 아니며, 상표권의 행사가 다른 법률, 특히 부정경쟁방지법에 위배되는 경우에는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상표권 남용#부정경쟁행위#상표 유사#부당이득

형사판례

남의 회사 이름 함부로 쓰면 안 돼요! 부정경쟁행위 주의보!

널리 알려지지 않은 회사의 영문 표기를 자기 상품에 붙여 판매했다고 해서 바로 부정경쟁행위로 처벌할 수는 없다. 해당 표기가 국내에서 널리 인식되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한다.

#부정경쟁행위#영문표기#주지성#무죄취지

민사판례

똑같이 생긴 공기분사기, 만들어 팔아도 될까요?

오랫동안 독점적으로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특정 회사 제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준 독특한 제품 형태는 상표처럼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모방하는 것은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

#제품형태#상표보호#부정경쟁행위#공기분사기

특허판례

내 상호, 남의 상표와 비슷하면 어쩌죠? 부정경쟁 목적의 의미

자신의 상호를 사용하는 것이 상표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특히 '부정경쟁의 목적'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등록된 상표라는 것을 알고 사용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여러 주관적, 객관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상표권 침해#부정경쟁 목적#상호#상표 유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