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해직공무원보상대상제외처분취소

사건번호:

91재누31

선고일자:

1991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결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때”의 의미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결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때”라고 함은 당사자가 소송상 제출한 공격방어방법으로서 판결에 영향이 있는 것에 대하여 판결이유 중에 판단을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며, 그 판단이 있은 이상 그 판단에 이르는 이유가 소상하게 설시되어 있지 않거나 당사자의 주장을 배척하는 근거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하더라도 이를 위 법조에서 말하는 판단유탈 이라고 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0.2.13. 선고 89재누106 판결(공1990,666), 1990.3.9. 선고 89재다카140 판결(공1990,863), 1990.11.27. 선고 89재다카26 판결(공1991,18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재심원고)】 【피고, 피상고인(재심피고)】 법무부장관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1991. 5. 10. 선고 90누7197 판결 【주 문】 재심청구를 기각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재심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재심원고, 이하 원고라 한다)의 재심사유를 본다. 1.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판결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때”라고 함은 당사자가 소송상 제출한 공격방어방법으로서 판결에 영향이 있는 것에 대하여 판결이유 중에 판단을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며, 그 판단이 있은 이상 그 판단에 이르는 이유가 소상하게 설시되어 있지 않거나 당사자의 주장을 배척하는 근거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하더라도 이를 위 법조에서 말하는 판단유탈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당원 1990.2.13. 선고 89재누106 판결; 1990.3.9. 선고 89재다카140 판결 각 참조). 이 사건 재심대상판결의 원심판결에 대한 상고이유와 재심대상판결 이유를 대조하여 보면 재심대상판결은 그 이유에서 “원심판결을 기록에 의하여 살펴본바 원고는 원심판시와 같은 그 자신의 사유에 의하여 스스로 사직한 것이지 1980년의 정화계획에 의하여 사직을 강요당하여 해직된 것이 아니라고 인정한 원심의 조치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반이나 심리미진 또는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고 판시함으로써 원고가 상고이유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원심판결에 채증법칙위반,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판단하였음이 명백하고, 그 판단에 이르는 이유 및 원고주장을 배척하는 근거를 소상하게 설시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판단을 유탈하였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논지는 독자적 견해에서 재심대상판결에 판단유탈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어서 이유 없다. 2. 또 원고는 재심대상판결의 원심판결에 채증법칙위반,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음을 내세우고 있으나, 이는 재심대상판결에 대한 민사소송법 제422조 소정의 재심사유가 될 수 없으므로 이 점 논지도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원고의 재심청구를 기각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이회창 이재성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법원이 내 주장을 빼먹고 판결했어요! 재심 가능할까요? (판단유탈)

재판에서 법원이 당사자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 판단을 누락한 경우(판단유탈)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법원이 직권으로 조사해야 할 사항을 빠뜨린 경우에는 당사자가 그 조사를 법원에 요구했을 때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판단유탈#직권조사사항#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민사판례

재심, 판단유탈이란 무엇일까요?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판단하지 않았을 경우, 재심 사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판단 자체는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모든 주장에 대한 반박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재심#판단유탈#중요쟁점#판결

민사판례

재판에서 중요한 주장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면 재심할 수 있을까?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에만 '판단유탈'이라고 합니다. 판단은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상대방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를 자세히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판단유탈은 아닙니다.

#판단유탈#재심#쟁점#판결

민사판례

재심, 판단 유탈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재판에서 패소한 쪽이 "판사가 내 중요한 주장을 판결문에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라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법원은 "판결문에 주장에 대한 판단이 있으면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더라도 재심 사유가 안 된다"라고 판결했습니다. 즉, 판단 자체가 누락된 경우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판단유탈#묵시적 기각#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

일반행정판례

재심, 언제 가능할까요? - 판단유탈과 소송요건 흠결

소송을 진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 갖춰지지 않아 소송이 각하된 경우, 법원이 본안(사건의 핵심 쟁점)에 대해 판단하지 않았더라도 이는 재심 사유가 되지 않는다. 또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사항을 법원이 스스로 조사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하더라도, 법원이 이를 조사하지 않았다고 해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소송요건#본안판단#재심사유#각하

민사판례

재심, 30일 안에 해야 하는 이유! 판단 누락 알았다면 기회는 단 한 번!

판사가 불공정하게 재판했을 경우(판단유탈), 재판 결과를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재심을 청구해야 합니다. 30일이 지나면 재심 청구는 효력이 없습니다.

#재심#판사 불공정(판단유탈)#30일#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