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

사건번호:

92누15253

선고일자:

19930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53조 제1항이 정한 별표 16의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의 대외적 기속력 유무(소극) 나. 지방경찰청장이 음주운전을 이유로 운전면허를 취소하는 것이 기속행위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53조 제1항이 정한 별표 16의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은 부령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규정의 성질과 내용이 운전면허의 취소처분 등에 관한 사무처리 기준과 처분절차 등 행정청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기속하는 효력이 없다. 나. 지방경찰청장이 운전면허를 받은 사람이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을 한 것 등을 이유로 도로교통법 제78조 제8호에 따라서 운전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기속행위가 아니다.

참조조문

가.나. 도로교통법 제78조 제8호, 같은법시행규칙 제53조 제1항 별표 16 / 나. 행정소송법 제27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91.2.26. 선고 90누9186 판결(공1991,1102), 1991.5.10. 선고 91누1417 판결(공1991,1650), 1991.6.11. 선고 91누2083 판결(공1991,1932) / 나. 대법원 1991.1.15. 선고 90누7630 판결(공1991,76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지방경찰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9.8. 선고 92구443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피고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한 판단 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53조 제1항이 정한 <별표 16>의 운전면허행정처분기준은 부령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그 규정의 성질과 내용이 운전면허의 취소처분 등에 관한 사무처리기준과 처분절차 등 행정청 내부의 사무처리준칙을 규정한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기속하는 효력은 없다 는 것이 당원의 확립된 판례( 1989.11.24. 선고 89누4055 판결; 1990.10.16. 선고 90누4297 판결; 1990.10.30. 선고 90누4020 판결; 1990.11.13. 선고 90누7517 판결; 1991.1.15. 선고 90누7630 판결; 1991.2.26. 선고 90누9186 판결; 1991.5.10. 선고 91누1417 판결; 1991.6.11. 선고 91누2083 판결 등)가 취하고 있는 견해이므로,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판결에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것이 못된다. 2. 같은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한 판단 지방경찰청장이 운전면허를 받은 사람이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을 한 것 등을 이유로 도로교통법 제78조 제8호에 따라서 운전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기속행위가 아님이 명백하므로 ( 당원 1991.1.15. 선고 90누7630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판시한 바와 같은 사정들을 참작하여 피고가 음주운전을 이유로 원고의 자동차운전면허 자체를 박탈하는 이 사건 운전면허취소처분을 한 것은 도로교통법에 의하여 달하고자 하는 공익적 목적의 실현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너무 무거워서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한 것으로서 위법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법리를 오해하거나 평등의 원칙 또는 이익교량의 원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무조건 취소는 아니다?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은 행정청 내부 지침일 뿐, 법원이나 국민을 구속하지 않으며, 음주운전으로 인한 운전면허 취소는 (일부 예외 제외) 담당 기관의 재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운전면허#취소처분#재량행위#기속행위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무조건 정당할까?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있는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표는 법적인 구속력이 없다. 즉, 법원이나 국민이 그 기준표대로 처분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준표#법적 구속력 없음#재량권#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정말 과할까요?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경우, 개인적인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음주운전 예방이라는 공익이 우선시되어 면허취소는 정당하다는 판결입니다. 125cc 이하 오토바이 음주운전으로 모든 종류의 운전면허가 취소되었더라도, 다른 차량 운전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는 것입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재량권#공익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사고 안 났다고 괜찮을까? 면허취소 정당한가 논란!

술을 마시고 운전했지만 사고는 내지 않은 경우에도 운전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정당하다. 특히, 음주운전 전력이 있고 혈중알코올 농도가 높다면 면허취소는 재량권 남용이 아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사고 없음#재량권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무조건 정당할까? 생계 위협하는 처분은 위법!

집 앞 주차를 위해 잠깐 음주운전을 한 가구점 운전기사의 면허가 취소되었는데, 법원은 운전이 생계 수단인 점을 고려하여 면허 취소는 과도한 처벌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생계#과잉처벌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개인의 불이익보다 공익이 우선!

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공무원이 생계 곤란 등을 이유로 취소 처분이 부당하다고 주장했지만, 대법원은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이라는 공익이 더 중요하다고 판결하여 면허취소 처분을 정당화했습니다.

#음주운전#면허취소#공익#불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