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대금등

사건번호:

92다24769

선고일자:

199209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어업권의 이전 분할 변경을 금지한 구 수산업법(1971.1.22. 법률 제2300호로 개정된 것) 제29조 제1항 규정의 성질(=단속규정)

판결요지

구 수산업법(1971.1.22. 법률 제2300호로 개정된 것) 제2조 제3호, 제8조, 제16조, 제24조, 제29조 제2항, 제43조 등의 관계규정에 의하면 어업권은 물권의 일종으로서 토지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고 어업권의 이전 등에 관한 사항은 어업권원부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으며 수산자원의 증식보호나 국방 기타 군사상 필요에 의하여, 또는 선박의 항행, 정박, 계류, 수저전선의 부설 기타 공익상의 필요에 의하여 어업을 제한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한 어업의 면허나어업권 이전에 대한 허가를 금지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비추어 보면 어업권의 이전·분할·변경을 금지한 같은 법 제29조 제1항의 규정은 단속규정에 불과할 뿐 그 위반행위의 사법상의 효력까지를 부인하는 효력규정은 아니라 할 것이다.

참조조문

구 수산업법(1971.1.22. 법률 제2300호로 개정된 것) 제2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5.15. 선고 91나9343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 3, 5점에 대하여 원심의 이 점들에 관한 사실의 인정은 기록에 비추어 수긍이 되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주장들은 어느 것이나 원심의 전권인 사실의 인정과 증거의 취사에 관한 것이 아니면 원심이 인정하지 아니한 사실을 들어 원심판결을 탓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한다. 제2점에 대하여 구 수산업법(1971.1.22.법률 제2300호로 개정된 것) 제29조 제1항은 어업권은 이를 이전, 분할 또는 변경할 수 없으나 다만 1년이 경과된 후 도지사의 허가를 받으면 그 이전 등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제90조 제3호로 위 제29조 제1항의 규정에 위반하여 어업권을 이전, 분할 또는 변경하는 자에 대한 처벌규정을 두고 있는데 같은 법 제2조 제3호, 제8조, 제16조, 제20조, 제24조, 제29조 제2항, 제43조 등의 관계규정에 의하면 어업권은 물권의 일종으로서 토지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고 어업권의 이전 등에 관한 사항은 어업권 원부에 등록하도록 되어있으며 수산자원의 증식보호나 국방 기타 군사상 필요에 의하여, 또는 선박의 항행, 정박, 계류, 수저전선의 부설 기타 공익상의 필요에 의하여 어업을 제한하여야 할 경우가 아닌 한 어업의 면허나 어업권 이전에 대한 허가를 금지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비추어 보면 위 수산업법 제29조 제1항의 규정은 단속규정에 불과할 뿐 그 위반행위의 사법상의 효력까지를 부인하는 효력규정은 아니라 할 것이다. 더욱이 위 관계규정에 의하면 내세우는 국토이용관리법이 허가 전의 거래행위를 금지하는 것과는 달리 어업권을 이전할 때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는데다가 기록을 살펴보아도 원고들과 피고들 사이에 처음부터 그 허가를 배제하거나 잠탈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것이라고 볼 수도 없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어업권 매매계약이 강행법규에 위반되어 무효라는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제4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어업권의 전소유자이던 소외 1이 판시어장뿐만 아니라 그 부근의 공유수면까지 피조개종패를 과대살포 하였는데 태풍으로 인하여 위 어장에 있던 피조개가 어장밖으로 밀려갔기 때문에 원·피고들이 어쩔수 없이 공유수면에서 피조개를 채취하기에 이른 사실을 확정한 다음 이와 같은 연유로 공유수면에 있는 피조개를 체포하여 그 수입금을 나누기로 한 원·피고들의 약정을 들어 반사회적인 법률행위라고 볼 수는 없고 따라서 원고들이 피고들에게 그 지분에 따른 수입금의 지급을 구한다 하여 그것이 불법원인급여의 반환을 구하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수긍이 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의 오해나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겹치는 어장에 대한 어업권, 무효일까요?

이미 어업권이 설정된 어장과 위치가 겹치는 곳에 다른 사람에게 새로 어업권을 주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며, 나중에 만들어진 어업권은 무효입니다.

#어업권#중복#무효#1물1권주의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고기 잡던 권리, 어떻게 인정될까? 그리고 보상은?

옛날부터 해오던 방식으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권리(관행어업권)는 누구에게나 인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손해배상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관행어업권#인정요건#손해배상#산정기준

민사판례

우리 마을 앞바다, 누가 맘대로 쓸 수 있나요? 관행어업권 이야기

오랫동안 허가 없이 특정 수역에서 어업활동을 해 온 어민들의 권리(관행어업권)가 인정되고, 이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이 판결은 관행어업권의 손해배상 산정 기준, 권리의 의미, 그리고 누가 이 권리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관행어업권#손해배상#산정기준(신고어업)#귀속주체(어촌계/개별어민)

민사판례

바다 매립 때문에 못 고기 잡아요! 어업권과 손실보상 이야기

이 판례는 간척사업으로 어업에 피해를 입은 어민들이 사업시행자인 농어촌진흥공사를 상대로 손실보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법원은 기존 관행어업권자의 권리 인정 기간, 신고어업자의 손실보상 청구 가능성, 매립면허 고시 후 신고어업의 효력 등을 판단했습니다.

#간척사업#어민#손실보상#관행어업권

민사판례

어장 매립 동의와 보상 약정, 어업권 대부 금지 위반인가?

바닷가 어장을 매립하려는 사업자가 어업권자와 매립 동의 및 보상에 대한 약정을 맺었는데, 이 약정이 어업권 대여 금지 규정에 위반되는지, 또한 매립 허가를 받지 못했을 때 어장 인도 청구권의 소멸시효가 진행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이 약정이 어업권 대여가 아니며, 매립 허가라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소멸시효도 진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어업권#공유수면 매립#약정 효력#소멸시효

민사판례

오랫동안 해온 갯벌 어업, 함부로 막을 수 없다! 관행어업권과 보상에 대한 이야기

오랜 기간 특정 바다에서 허가 없이 어업을 해 온 어민들의 권리(관행어업권)를 인정하고, 국가 사업으로 이 권리가 침해될 경우 어떻게 보상해야 하는지 판단한 판례입니다. 관행어업권은 어촌계 소유가 아니며, 개인별로 인정됩니다. 또한, 관행어업권 침해 시 보상은 신고어업과 유사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관행어업권#손실보상#신고어업#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