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대금

사건번호:

92다45520

선고일자:

199302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회사의 이사 등이 회사의 제3자에 대한 계속적 거래로 인한 채무를 연대보증한 경우 이사 등에게 회사의 거래에 대하여 재직중에 생긴 채무만을 책임지우기 위한 요건 나. 계속적 물품공급거래계약에 있어 채권자와 주채무자 쌍방간에 이의가 없는 한 유효기간을 1년 간씩 자동연장하기로 약정한 경우 계약기간의 자동연장에 관하여 연대보증인도 동의 또는 묵시적 승낙을 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 여부(한정적극)

판결요지

가. 회사의 이사 등이 회사의 제3자에 대한 계속적 거래로 인한 채무를 연대보증한 경우 이사 등에게 회사의 거래에 대하여 재직중에 생긴 채무만을 책임지우기 위하여는 그가 이사의 지위 때문에 부득이 회사의 계속적 거래로 인하여 생기는 회사의 채무를 연대보증하게 된 것이고 또 회사의 거래상대방이 거래할 때마다 거래 당시에 회사에 재직하고 있던 이사 등의 연대보증을 새로이 받아 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것임을 요하고, 그러한 사정이 없는경우의 연대보증에까지 그 책임한도가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나. 계속적 물품공급거래계약의 유효기간을 계약체결일로부터 1년으로 하되 쌍방간에 이의가 없는 한 기간을 1년 간씩 자동연장하기로 약정하였다면 계약기간 동안의 물품대금채무를 보증한 연대보증인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약기간의 자동연장에 관하여 동의 또는 묵시적 승낙을 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가.나. 민법 제428조, 제429조 / 가. 상법 제382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7.4.28. 선고 82다카789 판결(공1987,863), 1987.7.21. 선고 87다카677 판결(공1987,1390), 1988.5.24. 선고 87다카2896 판결(공1988,986) / 나. 대법원 1989.9.12. 선고 88다카23186 판결(공1989,1462), 1991.10.22. 선고 91다25932 판결(공1991,2809), 1991.12.24. 선고 91다9091 판결(공1992,665)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보령장업주식회사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9.17. 선고 92나2114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회사의 이사 등이 그 회사의 제3자에 대한 계속적 거래로 인한 채무를 연대보증한 경우에 있어 그 이사 등에게 회사의 거래에 대하여 그 재직중에 생긴 채무만을 책임지우기 위하여는, 그가 이사의 지위 때문에 부득이 회사의 계속적 거래로 인하여 생기는 회사의 채무를 연대보증하게 된 것이고, 또 그 회사의 거래상대방이 거래할 때마다 그 거래 당시에 그 회사에 재직하고 있던 이사 등의 연대보증을 새로이 받아 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것임을 요하고, 그러한 사정이 없는 경우의 연대보증에까지 그 책임한도가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당원 1988.5.24. 선고 87다카2896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의 판시이유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본바, 원심이 피고가 소외 회사의 대표이사의 지위에 있는 관계로 그 회사와 원고와의 계속적 거래로 인한 채무를 연대보증하였다가 그 후 위 대표이사직을 사임하고 자신이 대표이사로 재직중에 이루어진 거래에서 발생한 물품대금채무는 그 대부분이 결제되어 소멸하였다 하더라도, 달리 피고가 위 대표이사로 재직중에 생긴 채무액 한도 내에서만 보증책임을 부담하기로 특약을 하였다거나 그 보증책임의 범위를 위와 같은 범위 내로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할 아무런 사정도 찾아 볼 수 없다 하여, 피고의 보증책임 제한에 관한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그 판단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그리고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원고와 소외회사가 판시 계속적 물품공급거래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그 유효기간을 계약체결일로부터 1년으로 하되, 쌍방간에 이의가 없는 한 위 계약기간을 1년 간씩 순차로 자동 연장하기로 약정하였고, 피고가 위 계약기간 동안의 소외회사의 원고에 대한 물품대금채무에 관하여 연대보증인이 되었다면, 피고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 계약기간의 자동연장에 관하여 동의 또는 묵시적 승낙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당원 1989.9.12. 선고 88다카23186 판결 등 참조), 원심이 피고의 이 사건 연대보증책임이 보증기간 1년이 경과함으로써 종료되었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도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무슨 잘못이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 대표이사의 보증 책임, 언제까지일까?

회사 이사가 재직 중 회사의 확정채무에 대해 보증을 섰다면, 이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보증 책임을 져야 한다.

#이사#회사 채무 보증#확정채무#보증 책임

민사판례

회사 이사의 연대보증,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

회사 이사가 회사의 계속적인 거래 채무를 연대보증했을 때, 단순히 이사직에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보증 책임을 재직 기간 동안 발생한 채무로 제한할 수 없다. 이사가 어쩔 수 없이 보증을 했고, 회사가 거래할 때마다 재직 중인 이사의 새로운 보증을 받는 등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재직 기간 중 발생한 채무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

#연대보증#이사#책임범위#재직기간

민사판례

회사 이사의 연대보증 책임, 어디까지일까?

회사 이사가 회사의 빚에 대해 연대보증을 섰을 때, 그 책임 범위는 언제까지일까요? 이 판례는 이사 재직 기간 중 발생한 빚에 대해서만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사 퇴임 후에도 계속해서 보증 책임을 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연대보증#이사#책임범위#퇴임

민사판례

계속적 공급 계약의 자동연장과 연대보증인의 책임

상품 공급계약에서 계약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조항이 있을 경우, 이 조항은 연대보증인에게도 효력이 있다. 즉, 계약이 자동으로 연장되면 연대보증인도 연장된 기간 동안 보증 책임을 진다.

#계속적 공급계약#자동연장 조항#연대보증인#보증책임

민사판례

회사 대표이사 사임과 연대보증 책임

금융기관에 연대보증인에서 빼달라고 요청했는데 답이 없다고 해서 자동으로 승낙된 것은 아니며, 회사 대표이사가 사임했다고 해서 연대보증 책임이 없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연대보증#제외요청#대표이사사임#보증책임

민사판례

이사의 연대보증 책임, 어디까지일까?

회사 이사가 회사 채무를 연대보증한 경우, 보증 책임 범위는 원칙적으로 사임 여부와 관계없이 유효하며, 사임등기 경료 여부에 대한 착오는 계약 취소 사유가 되지 않는다.

#이사#연대보증#책임범위#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