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2다51204

선고일자:

199303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서면에 의하지 아니한 청구취지의 변경에 대하여 상대방이 지체 없이 이의하지 아니한 경우 책문권이 상실되는지 여부(적극) 나. 청구의 예비적 병합에 있어서 법원의 심판순서

판결요지

가. 서면에 의하지 아니한 청구취지의 변경은 잘못이지만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지체 없이 이의를 하지 않았다면 책문권의 상실로 그 잘못은 치유된다. 나. 청구의 예비적 병합에 있어서 예비적 청구는 주위적 청구가 인용되는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는 것이므로 법원의 심판순서는 당사자가 청구한 심판의 순서에 구속을 받게 된다.

참조조문

가. 민사소송법 제140조, 제235조 / 나. 같은 법 제230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6.4.13. 선고 75다2187 판결, 1982.7.13. 선고 82다카262 판결(공1982,807), 1990.12.26. 선고 90다4686 판결(공1991,609) / 나. 대법원 1959.10.15. 선고 4291민상793 판결(집7민256), 1972.9.26. 선고 72다1177 판결(집20③민35)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민사지방법원 1992.10.9. 선고 92나170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서면에 의하지 아니한 청구취지의 변경은 잘못이지만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지체없이 이의를 하지 않았다면 책문권의 상실로 그 잘못은 치유 된다고 할 것인데( 당원 1972.11.28. 선고 71다1668 판결; 1976.4.13. 선고 75다2187 판결; 1990.12.26. 선고 90다4686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원고소송대리인은 제1심 제6차변론기일에 “이 건 소장을 통해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이를 원인으로 피고 명의의 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등기는 당연무효이므로 말소를 구한다”는 내용이 기재된 준비서면을 진술한 다음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의 이행을 주위적으로 구하고 예비적으로 말소등기절차의 이행을 구한다”는 취지로 정정진술을 하였는데도 그 자리에 참석한 피고 소송대리인이 아무런 이의를 한 흔적이 없으므로 책문권의 상실로 위 잘못은 치유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양립할 수 없는 수개의 청구를 하면서 주위적청구가 기각되거나 각하될 것에 대비하여 예비적청구에 대하여 심판을 구하는 병합형태인 예비적 병합에 있어서 예비적 청구는 주위적 청구가 인용되는 것을 해제조건으로 하는 것이므로 법원의 심판순서는 당사자가 청구한 심판의 순서에 구속을 받게 된다. 따라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청구취지가 적법하게 변경된 것으로 보고 원고가 주위적 청구로 내세운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절차 이행청구에 관하여 먼저 심리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2. 기록에 비추어 이 사건 명의신탁관계는 1992.4.14.자 준비서면이 피고에게 송달됨으로써 해지되었다고 할 것인데도 원심이 이 사건 소장이 피고에게 송달됨으로써 해지되었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 할 것이지만 이러한 잘못은 판결결과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주장은 이유 없다. 3.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한 피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원고의 명의신탁에 의하여 이루어진 사실을 확정하고 이에 어긋나는 증거들을 적법하게 배척하였는 바,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조치는 옳게 수긍이 되고 거기에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원심의 전권인 사실의 인정과 증거의 취사를 탓하고 있음에 지나지 않는다. 내세우는 판례는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여 적절하지 아니하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윤관(주심) 김주한 천경송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소송 중 청구취지 변경, 증거신청, 변론재개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소송 중 청구취지 변경은 최종 판결 후에만 다툴 수 있고, 법원이 증거신청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은 것은 묵시적 기각으로 볼 수 있으며, 변론재개 신청은 법원의 재량이며 당사자에게 신청권은 없다는 내용입니다.

#청구취지 변경#증거신청 기각#변론재개#상소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내용 변경, 언제까지 가능할까?

소송 중에 새로운 주장을 추가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소송이 크게 지연될 경우 법원은 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재판은 공정하고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송#청구변경#지연#거부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변경, 어떻게 될까요?

소송 중 청구를 교환적으로 변경하면, 기존 청구는 취하된 것으로 간주하고 새로운 청구만 심리해야 합니다. 원래 청구에 대한 판단은 무효입니다.

#청구변경#교환적 변경#취하#새로운 청구 심리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검사가 서면으로 공소장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 피고인의 동의는 필요하지 않으며, 공판조서의 내용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대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공소장변경#피고인동의#서면신청#공판조서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변경, 어디까지 허용될까?

소송 중 청구 내용을 변경할 때, 변경하려는 의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법원은 어떤 의도로 변경하는지 물어봐야 할 의무가 있다.

#소변경#석명의무#불명확한 의사#법원

민사판례

항소심 진행 중 청구 변경, 그대로 심판 가능할까?

항소심 재판 중에 새로운 청구가 추가되거나 기존 청구가 변경되어도, 변경/추가된 청구 내용이 항소심 법원의 관할 범위에 해당한다면, 항소심 법원이 그대로 심리할 수 있다.

#항소심#청구변경#청구추가#관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