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행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행사

사건번호:

92도1564

선고일자:

199209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인회사에서 1인주주가 임원의 의사에 기하지 아니하고 사임서를 작성하거나 이에 기한 등기부의 기재를 한 경우, 사문서위조죄 및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의 성부(적극)

판결요지

이른바 1인회사에 있어서 1인주주의 의사는 바로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의사와 같은 것이어서 가사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나 그에 의한 임원변경등기가 불법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1인주주의 의사에 합치되는 이상 이를 가리켜 의사록을 위조하거나 불실의 등기를 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겠으나 한편 임원의 사임서나 이에 따른 이사사임등기는 위와 같은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 또는 1인주주의 의사와는 무관하고 오로지 당해 임원의 의사에 따라야 하는 것이므로 당해 임원의 의사에 기하지 아니한 사임서의 작성이나 이에 기한 등기부의 기재를 하였다면 이는 사문서위조 및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의 죄책을 면할 수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231조, 제22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1.6.9. 선고 80도2641 판결(공1981,14065)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A 【상 고 인】 피고인 및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황선당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5.26. 선고 92노16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1.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이른바 1인회사에 있어서 1인 주주의 의사는 바로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의사와 같은 것이어서 가사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나 그에 의한 임원변경등기가 불법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1인 주주의 의사에 합치되는 이상 이를 가리켜 의사록을 위조하거나 불실의 등기를 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하겠으나 한편 임원의 사임서나 이에 따른 이사사임등기는 위와 같은 주주총회나 이사회의 결의 또는 1인주주의 의사와는 무관하고 오로지 당해임원의의사에 따라야 하는 것이므로 당해 임원의 의사에 기하지 아니한 사임서의 작성이나 이에 기한 등기부의 기재를 하였다면 이는 사문서 위조 및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의 죄책을 면할 수 없는 것이다(당원 1981.6.9. 선고 80도2641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보면 공소외 C 주식회사의 이사이던 망 공소외 D가 이사직에서 사임한 바 없고, 생전에 1인 주주인 피고인에게 사임의 의사를 밝힌 바도 인정이 안되는데 피고인이 위 공소외 D의 사망후에 판시와 같이 사망으로 인한 퇴임절차대신 사임에 의한 퇴임절차를 밟은 것이라면 이는 사문서위조 및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의 죄책을 져야 하는 것이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범의가 없다거나 사회적 비난가능성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결국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이를 탓하는 논지는 이유 없다. 2.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주식양도증서위조 및 행사의 점에 대하여 설시와 같은 증거의 취사와 판단에 따라 범죄사실을 인정할 증명이 없다하여 무죄를 선고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할 수 없어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1인 주주 회사의 이사 해임과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

주식회사의 주주가 단 한 명뿐인 1인 주주 회사에서는 주주총회 등의 형식적인 절차 없이 이사를 해임하고 그 내용을 등기했다 하더라도 불법이 아니다.

#1인 주주#이사 해임#등기#합법

상담사례

1인 회사, 나 혼자 사장인데 이사 해임도 마음대로 못한다고? 🤔

1인 회사라도 이사 해임은 원칙적으로 주주총회 특별결의 사항이지만, 1인 주주가 작성한 의사록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한 해임 결의로 인정된다.

#1인 회사#이사 해임#주주총회#절차

형사판례

대표이사 해임을 퇴임으로 등기했는데 죄가 될까요?

회사 대표이사 해임 후 법무사 조언에 따라 '임기만료 퇴임'으로 등기했는데, 이를 허위 기재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대표이사 퇴임#등기#허위기재#무죄

민사판례

1인 회사 이사의 퇴직금과 해임

실질적인 1인 회사에서 주주총회 결의 없이 지급된 퇴직금의 효력을 다룬 판례입니다. 1인 주주의 결재·승인과 관행적인 지급이 있었다면 주주총회 결의가 있었던 것으로 간주되어 퇴직금 청구가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이사회 결의에 의한 대표이사 해임은 주주총회 결의에 의한 이사 해임과는 달리 상법 제385조 제1항이 적용되지 않아 해임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1인 회사#퇴직금#주주총회 결의#이사 해임

민사판례

이사의 사임, 마음 바뀌면 철회할 수 있을까?

회사 정관에 사임 절차나 효력 발생 시기가 정해져 있다면, 이사는 정관에서 정한 효력 발생 시기 전까지 사임 의사를 철회할 수 있다.

#이사 사임#철회#정관#효력 발생 시기

형사판례

회사 분할과 주식 매각, 배임일까? 사문서 위조일까?

회사 대표가 회사를 분할하고 매각하는 과정에서 주주의 동의를 얻었다면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으며, 주주로부터 관련 사무처리 권한을 위임받았다면 사문서위조죄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회사분할#매각#주주동의#배임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