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의원선거법위반

사건번호:

92도1693

선고일자:

1993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지방의회의원선거 합동연설회장에서 후보자를 비난하는 취지의 발언이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177조 제1항 소정의 후보자비방에서 말하는 “사실의 적시”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나. 지방의회의원선거 합동연설회장에서 한 후보자를 비난하는 취지의 발언이 사회통념상 허용될 만한 정도의 상당성이 있는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가. 지방의회의원선거 합동연설회장에서 후보자를 비난하는 취지의 발언이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177조 제1항 소정의 후보자비방에서 말하는 “사실의 적시”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나. 지방의회의원선거 합동연설회장에서 한 후보자를 비난하는 취지의 발언이 사회통념상 허용될 만한 정도의 상당성이 있는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가.나. 지방의회선거법 제177조 제1항 / 나. 형법 제2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2.6.17. 선고 92노21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177조 제1항 소정의 후보자비방죄에서 말하는 <사실의 적시>라 함은 사람의 사회적 가치 내지 평가를 저하시키기에 충분한 사실을 적시하는 것을 말하므로 구체적 사실이 아닌 단순한 추상적 판단을 표시하는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인의 합동연설회장에서의 공소사실과 같은 발언 중 “공소외 민병훈는 자기 목적을 위해서는 아무데나 눈물 흘리고 아무데나 웃고 아무데나 비방하는 몰염치한 사람이다. 그와 같이 비양심적인 행동을 하며 목적을 위해서는 수시로 표정을 바꾸는 동인은 지방자치제나 지방발전을 위해 기여할 수 없는 사람이니 의원으로 선출하여서는 안된다”는 취지의 것은 피고인이 위 민병훈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도덕성에 관한 추상적 판단일 뿐 위 후보자 비방죄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사실의 적시라고 볼 수 없다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또한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위 민병훈가 민자당 공천신청을 하면서 공천에서 탈락되더라도 당을 비방하는 등의 해당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하고서도 공천에서 탈락하자 민자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제1차 합동연설회에서 피고인이 마치 민자당의 공천을 받기 위하여 금원을 제공한 양 발언을 하므로 피고인이 이에 대하여 해명할 목적으로 “위 민병훈는 민자당의 부산시 당직자로 활약하여 오다가 공천에서 탈락하자 당을 배반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의 공천과정이 잘못되었다는 등 주장하나 그것은 허무맹랑한 비방이며, 정당의 공천이 지방자치제를 망가뜨린다고 주장하나 그것은 유언비어에 불과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다면 이와 같은 피고인의 행위는 사회통념상 허용될 만한 정도의 상당성이 있는 행위로서 위법성이 조각되어 죄가 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에도 지적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주장은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철, 상대 후보 비방 어디까지 허용될까? - 후보자 비방죄에 대한 궁금증 해결!

선거 유세 중 상대 후보에 대한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의견 표현이라고 주장하더라도 사실 적시로 판단될 수 있으며, 공익을 위한 발언이었다는 주장도 사익 추구가 주된 목적이었다면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선거#허위사실 유포#인신공격#처벌

형사판례

선거 비방, 어디까지 허용될까? 후보자 비방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구의원 예비후보가 같은 당 시의원 후보 예정자를 온라인 게시판에 여러 차례 비방하는 글을 올려 처벌받은 사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과 사실 적시가 인정되었고,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선거비방#공익#처벌#후보자비방죄

형사판례

선거철, 후보자 비판, 어디까지 허용될까? - 의견표현과 비방의 경계

단순히 후보자에 대한 개인적인 가치판단이나 평가를 담은 인터넷 게시글은 선거법상 후보자 비방죄에 해당하지 않는다.

#후보자 비방죄#인터넷 게시글#의견 표현#사실 적시

형사판례

선거철, 후보자 비방 발언은 언제 처벌받을까?

선거 과정에서 상대 후보를 낙선시키려고 허위 사실을 퍼뜨리는 것은 불법이지만, 그 내용이 진실이거나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타당한 근거가 있다면 처벌받지 않는다.

#선거#후보자 비방#허위사실 공표#진실

형사판례

선거철, 후보자 비방과 허위사실 공표, 어디까지 허용될까?

선거 후보자가 방송에서 상대 후보자의 의정활동 실적을 비판하거나 사건에 대해 자작극 의혹을 제기한 것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 또는 후보자비방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선거방송#허위사실공표죄#후보자비방죄#의정활동

형사판례

선거 유세 중 상대 후보 발언에 대한 물리적 방해, 정당방위일까?

선거 유세 중 상대 후보가 과거 자신의 비위 사실을 언급하자 물리적으로 연설을 방해한 행위는 정당방위가 아닌 불법 행위로 판결.

#선거유세#정당방위#불법행위#명예훼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