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사건번호:

92도3170

선고일자:

199303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고속버스 승객이 차내에 있는 유실물을 가져 간 경우의 죄책(=점유이탈물횡령죄)

판결요지

고속버스 운전사는 고속버스의 관수자로서 차내에 있는 승객의 물건을 점유하는 것이 아니고 승객이 잊고 내린 유실물을 교부받을 권능을 가질 뿐이므로 유실물을 현실적으로 발견하지 않는 한 이에 대한 점유를 개시하였다고 할 수 없고, 그 사이에 다른 승객이 유실물을 발견하고 이를 가져 갔다면 절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점유이탈물횡령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29조, 제36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8.4.25. 선고 88도409 판결(공1988,930)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 사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10.27. 선고 92노519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면, 고속버스의 운전사는 고속버스의 관수자(管守者)로서 차내에 있는 승객의 물건을 점유하는 것이 아니고, 승객이 잊고 내린 유실물은 이를 교부받을 권능을 가질 뿐이므로( 유실물법 제10조 참조), 그 유실물을 현실적으로 발견하지 아니하는 한 이에 대한 점유를 개시하였다고 할 수 없고, 그 사이에 다른 승객이 유실물을 발견하고 이를 가져갔다면 이는 절도에 해당하지 아니하고 점유이탈물을 횡령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에 대한 주위적 공소사실인 절도의 점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예비적 공소사실인 점유이탈물 횡령사실을 인정한 조처는 옳고, 거기에 절도죄에 있어서의 점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최종영(주심) 최재호 김석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지하철에서 놓고 내린 물건, 가져가면 절도일까? 횡령일까?

지하철에 두고 내린 물건을 누군가 가져갔다면, 그 사람은 절도죄가 아닌 점유이탈물횡령죄로 처벌받습니다. 왜냐하면 지하철 직원은 승객의 물건을 점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점유이탈물횡령죄#지하철#유실물#절도죄

형사판례

잃어버린 물건, 함부로 가지면 안 돼요! 습득물 횡령에 대한 오해와 진실

잃어버린 물건을 주웠다고 해서 무조건 횡령죄가 되는 건 아니에요. 횡령할 의도가 있었는지 명확하게 증명해야 유죄 판결을 할 수 있어요. 이 사건에서는 그런 증거가 부족해서 무죄 취지로 판결이 뒤집혔어요.

#습득물#횡령#증거#고의

형사판례

내 차는 내가 판다?! 남의 차 함부로 팔았다간 횡령죄!

남의 차를 맡아서 보관하던 사람이 허락 없이 차를 팔거나 자기 것처럼 처분하면 횡령죄로 처벌받습니다. 이때 차량 등록증에 이름이 적혀있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입차량의 경우에도 지입회사나 지입차주 허락 없이 차량을 처분하면 횡령죄가 성립합니다.

#차량횡령#보관자#등록명의 무관#지입차

형사판례

동거인 사망 후 유품을 가져간 경우, 절도죄일까?

동거인 사망 후, 상속인들이 미처 물건을 확인하기도 전에 동거인의 유품을 가져간 경우, 절도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절도죄 성립의 핵심은 상속인들이 해당 물건을 '사실상 지배'했는지 여부이다.

#동거인 사망#유품 절취#절도죄#사실상 지배

형사판례

같이 쓰는 물건도 훔칠 수 있을까? 공동소유 물건의 절도

다른 사람과 함께 소유한 물건이라도, 마음대로 가져가면 절도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공동소유#절도죄#불법영득의사

형사판례

내 차 판 돈, 네 맘대로 쓰면 횡령!

타인의 버스를 팔아준 뒤, 그 돈을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면 횡령죄가 성립한다.

#버스#매각대금#횡령#타인의 재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