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

사건번호:

92도848

선고일자:

199210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질염치료나 임신중절수술 및 그 수술 후의 처치 등이 조산사가 할 수 있는 의료행위에 속하는지 여부(소극) 나.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5조 소정의 “영리의 목적”의 의미와 영리의 귀속자가 경영주체나 손익귀속주체와 일치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다. 산부인과의원의 원장인 의사와 공모하여 질염치료 또는 임신중절수술을 한 조산사에게 위 “나”항의 영리의 목적이 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가. 조산사가 의료법 제2조 소정의 의료인이라 하더라도 조산과 임부·해산부·산욕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에만 종사할 수 있을 뿐 질염치료나 임신중절수술 및 그 수술 후의 처치 등을 할 수는 없고 이는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나.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5조 소정의 “영리의 목적”이란 널리 경제적인 이익을 취득할 목적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이익의 귀속자가 반드시 경영의 주체나 손익귀속의 주체와 일치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다. 산부인과의원의 원장인 의사와 공모하여 질염치료 또는 임신중절수술을 한 조산사에게 위 “나”항의 영리의 목적이 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가.나.다.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5조 / 가.다. 의료법 제2조 제2항 제4호, 제25조 제1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0.1.15. 선고 79도2835 판결(공1980,12565) / 나. 대법원 1978.2.14. 선고 77도3515 판결(공1978,10681), 1979.5.22. 선고 79도630 판결, 1986.2.11. 선고 85도448 판결(공1986,47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3.13. 선고 91노329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의 국선변호인 및 사선변호인의 각 상고이유에 대하여 본다. 1. 원심이, 피고인은 의사면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C의원의 원장인 공소외 D와 공모하여, 1989.12.15.부터 1991.4.24.까지 사이에 197명의 환자를 상대로 질염치료 또는 임신중절수술을 하는 등 의료행위를 한 사실을 인정한 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조산사가 의료법 제2조 소정의 의료인이라 하더라도 조산과 임부·해산부·산욕부 및 신생아에 대한 보건과 양호지도에만 종사할 수 있을 뿐 질염치료나 임신중절수술 및 그 수술 후의 처치 등을 할 수는 없고 이는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의료행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피고인은 그가 환자들에게 의사로 행세하면서 위와 같은 치료 또는 수술을 하였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의사 아닌 자로서 의사의 의료행위를 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인이 조산사로서의 직분을 수행하였을 뿐이라거나 피고인의 행위가 소위 ‘대진(代診)’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3.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5조 소정의 ‘영리의 목적’이란 널리 경제적인 이익을 취득할 목적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이익의 귀속자가 반드시 경영의 주체나 손익귀속의 주체와 일치하여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므로, 원심이, 의사인 위 김기진와 공모한 피고인에게도 영리의 목적이 있었다고 본 데에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논지 역시 이유 없다. 4. 결국 이 사건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박만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조산사의 업무 범위와 불법 의료행위

조산사는 정상 분만을 돕는 것이 주된 업무이며, 응급상황이 아닌 경우 의사의 지시 없이 약물을 투여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조산사#약물투여#무면허의료행위#응급상황

형사판례

조산사와 간호사의 의료행위,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조산사는 의료인이지만, 조산과 산모, 신생아 케어가 주 업무입니다. 의사처럼 진찰, 치료 등을 하면 불법 의료행위입니다. 간호사도 의사의 지시가 있더라도 의사만 할 수 있는 의료행위를 하면 안 됩니다.

#조산사#무면허의료행위#진찰#치료

형사판례

벌침 시술, 불법 의료행위일까?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돈을 받고 질병 치료 목적으로 벌침 시술을 하는 것은 불법 의료행위다.

#무면허 벌침#불법 의료행위#의료법 위반#보건범죄단속법 위반

일반행정판례

병원 밖 진료와 간호사의 조제 행위, 건강보험 부당청구로 이어질 수 있어요!

병원이 환자의 개별적인 요청 없이 사회복지시설에 정기적으로 방문진료를 하고 요양급여를 청구한 행위, 그리고 간호사가 의사 없이 의약품을 조제하고 요양급여를 청구한 행위는 모두 불법이며, 관련 기관이 요양급여 전액을 환수한 것은 정당하다.

#방문진료#무면허 의약품 조제#요양급여 환수#의료법 위반

생활법률

우리 주변의 의료인, 누구일까요? (의료법 해설)

의료법 상 의료인은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이며, 각 직종별 국가시험 합격 및 면허 취득 후 진료 거부 금지, 태아 성 감별 금지 등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의료인#의료법#의사#치과의사

형사판례

치과의사의 보톡스 시술, 합법? 불법? 드디어 대법원의 결론!

치과의사가 미용 목적으로 눈가와 미간에 보톡스 시술을 하는 것은 면허 범위를 벗어난 의료행위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 다만, 반대 의견도 존재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음.

#치과의사#보톡스#면허 범위#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