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부정경쟁방지법위반

사건번호:

93도3213

선고일자:

1995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위반의 포괄1죄에 있어서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에 관한 사례

판결요지

검사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피고인의 규격기준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된 벌꿀의 취득행위를 모두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위반의 포괄1죄로서 의율하고 있음이 분명한 경우, 그 1죄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개의 행위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전체범행의 시기와 종기, 보건사회부장관 등이 정한 벌꿀의 기준과 규격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된 내용, 그 정을 알면서도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한 벌꿀의 총량과 그 가액의 합계를 명시하면 이로써 그 공소사실은 특정되며, 피고인의 장기간에 걸친 판매목적의 벌꿀 취득행위를 포괄1죄에 해당한다고 보는 이상, 그 기간 중 어느 일정 연도의 연간 소매가격이 같은 법 제2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금 5천만 원을 넘은 경우에는 다른 연도의 그것이 위 금액에 미달한다 하더라도 그 전체를 같은 법 제2조 제1항 제2호 위반의 포괄1죄로서 처단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전체범행의 시기와 종기, 벌꿀의 기준과 규격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한 벌꿀의 총량 및 그 가액의 합계가 금 5천만 원을 훨씬 넘는 것임을 밝힌 공소사실에 각 연간별 벌꿀의 취득량과 그 소매가격이 명시되지 않았다는 사유만으로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 식품위생법 제7조 제4항 ,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0.3.25. 선고 79도2962 판결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변호인 변호사 하영석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0.22. 선고 93노162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변호인의 상고이유(기간도과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한도내에서)를 본다.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채택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은 1990.5.28.부터 1992.11.21.경까지 사이에 원심상피고인 으로부터 그가 설탕과 물, 식용색소를 벌꿀과 50:50으로 섞어 열을 가하면서 혼합하고 진공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소분하는 방법으로 벌꿀규격기준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한 벌꿀 27,919kg 시가 금96,419,500원 상당을 판매할 목적으로 구입한 사실과 당시 위 벌꿀이 그 규격기준에 미달하는 것이라는 정을 알면서도 이를 취득하였던 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다만 원심은 검사작성의 원심상피고인에 대한 제3회 피의자신문조서, 수사기록 제155면 이하에 편철된 거래원장의 각 기재내용을 들어 1992.10.5.부터 같은 해 11.21.까지 피고인과 원심상피고인 사이에 아카시아꿀 14,118kg 금 51,768,200원 상당과 잡화꿀 9,667kg 금 30,641,300원 상당이 거래되어 1992년도 한해 동안만의 거래 누계액이 금 82,409,500원에 당하는 사실을 인정하고 있으나, 위 각 기재내용에 의하면 그 거래기간은 1991.5.20.부터 같은 해 12.23.까지임이 분명하므로, 위 판시 중의 거래기간과 거래연도는 '1991.5.20.부터 같은 해 12.23.까지' '1991년도'의 각 오기로 보인다). 또 소론은 검사의 공소장변경허가신청에 따라 원심상피고인 및 피고인 등에 대한 공소사실 및 적용법조 등이 변경된 이 사건에서 검사는 그 변경된 공소장에 의하여 변경요지만을 진술하였을 뿐 제1심이나 원심에서 그 변경된 공소사실에 관하여 피고인 등을 신문한 바가 없으므로 이에 관한 사실심리가 없었다는 취지로 주장하는바, 기록을 살펴보면 제1심의 제6회 공판조서에 검사가 주장과 같이 공소장의 변경요지만을 진술하고 피고인 등을 신문하지 않은 상태에서 변론이 종결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때 재정하고 있던 피고인이나 피고인의 변호인은 위 공소장 변경에 대하여 아무런 이의를 제기한 바 없고, 피고인의 변호인 역시 피고인에 대하여 아무런 신문도 하지 아니하였으며, 재판장이 피고인에게 진술할 기회를 주지 아니한 것도 아님을 알 수 있는데다가, 당초 제기된 공소사실 역시 공소장 변경 후의 이 사건 공소사실과 마찬가지로 원심상피고인 이 피고인 등의 요구에 따라 설탕과 물, 식용색소, 약간의 벌꿀을 지하탱크에 넣고 열을 가하여 혼합하고 진공농축기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농축한 후 소분기로 소분하여 벌꿀을 제조 가공하고, 피고인은 판매할 목적으로 동인으로부터 위 벌꿀을 구입하여 이를 취득하였다는 것을 그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고, 제1심은 이에 관하여 피고인에 대한 신문을 하고 증거조사까지 하였음이 기록상 분명하므로, 원심판결에 지적하는 바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사건 공소장의 기재에 의하면 검사는 위 기간 동안에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피고인의 위와 같은 벌꿀 취득행위를 모두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위반의 포괄1죄로서 의율하고 있음이 분명한바, 이 경우 그 1죄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개의 행위가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 전체범행의 시기와 종기, 보건사회부장관 등이 정한 벌꿀의 기준과 규격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된 내용, 그 정을 알면서도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한 벌꿀의 총량과 그 가액의 합계를 명시하면 이로써 그 공소사실은 특정된다 할 것이다. 물론 식품위생법 제75조 제1호가 같은 법 제7조 제1항, 제2항 소정의 기준과 규격에 맞지 아니하는 식품 또는 첨가물을 판매하거나 판매의 목적으로 제조, 가공, 사용, 조리, 저장, 운반, 보존 또는 진열을 하지 못하도록 한 식품위생법 제7조 제4항의 규정에 위반한 자에 대하여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대하여, 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는 식품위생법 제7조 제4항을 위반한 자 중에서도 허위가공한 자, 그 정을 알고 판매하거나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한 자 등에 대하여 식품 또는 첨가물의 가액이 소매가격으로 5천만 원 이상인 때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소론이 지적하는 바 피고인이 연간 취득한 벌꿀의 양과 그 소매가격은 이를 공소사실로서 특정하여 적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으나. 피고인의 위와 같은 장기간에 걸친 판매목적의 벌꿀 취득행위를 포괄1죄에 해당한다고 보는 이상, 그 기간 중 어느 일정 연도의 연간 소매가격이 위 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소정의 금 5천만 원을 넘은 경우에는 다른 연도의 그것이 위 금액에 미달한다 하더라도 그 전체를 위 특별조치법 제2조 제1항 제2호 위반의 포괄1죄로서 처단할 수 있는 것이므로 ( 당원 1980.3.25. 선고 79도2962 판결 참조), 그 전체범행의 시기와 종기, 벌꿀의 기준과 규격에 맞지 않게 제조 가공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판매할 목적으로 취득한 벌꿀의 총량 및 그 가액의 합계가 금 5천만 원을 훨씬 넘는 것임을 밝힌 이 사건 공소사실에 소론과 같이 각 연간별 벌꿀의 취득량과 그 소매가격이 명시되지 않았다는 사유만으로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벌꿀 소분 판매, 신고해야 할까요?

신고 없이 벌꿀을 소분하여 판매하는 것은 식품위생법 위반이다. 직접 채취한 벌꿀을 소분 판매하는 양봉업자는 예외이지만, 그 외의 경우는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벌꿀#소분판매#신고의무#식품위생법 위반

형사판례

짝퉁 상품 팔았는데, 죄가 몇 개일까요?

한 번의 유사 상표 사용으로 여러 개의 등록상표를 동시에 침해하면, 각각의 상표권 침해는 '상상적 경합범'으로 처벌됩니다. 즉, 여러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간주되어 가장 무거운 죄의 형량을 기준으로 처벌받습니다.

#유사상표#상표권침해#상상적경합범#포괄일죄

형사판례

여러 해에 걸친 불법 의약품 판매, 처벌은 어떻게?

여러 해에 걸쳐 불법 의약품을 반복해서 판매한 경우, 특정 연도에 1천만 원 이상 판매했다면 다른 연도 판매액이 1천만 원 미만이더라도 전체를 하나의 죄로 처벌한다는 대법원 판결.

#부정의약품#판매#1천만원#포괄일죄

형사판례

약국개설자가 아닌 사람의 의약품 판매, 여러 번 팔았다면 하나의 죄일까? 여러 죄일까?

약사 면허 없이 의약품을 여러 번 사고팔았더라도, 하나의 범죄로 볼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이전에 다른 범죄로 처벌받았더라도, 그 이후의 무면허 의약품 거래까지 모두 합쳐서 하나의 죄로 처벌합니다.

#무면허 의약품 판매#포괄일죄#약사법 위반#환송

형사판례

약재 혼합 판매, 의약품 제조로 볼 수 있을까?

여러 종류의 한약재를 각각 포장했더라도, 특정 용도로 조합하여 판매하면 의약품 제조로 볼 수 있고, 따라서 무허가 제조·판매는 불법입니다. 단순히 한약재를 판매하는 것과 의약품을 제조·판매하는 것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한약재#조합판매#의약품 제조#무허가 제조·판매

형사판례

약국과 병원의 은밀한 거래, 포괄일죄로 처벌될까?

약국개설자가 처방전 알선 대가로 의사에게 여러 차례 돈을 건넨 경우, 이는 여러 개의 죄가 아니라 하나의 죄(포괄일죄)로 봐야 한다.

#약국개설자#처방전 알선#대가 제공#포괄일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