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자동차증차인가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2220

선고일자:

199504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행정소송법 제31조 제1항 소정의‘자기에게 책임 없는 사유’유무의 판단기준 나. ‘가’항의 사유에 관한 입증책임

판결요지

가. 행정소송법 제31조 제1항 규정에 의하여 제3자가 재심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 갖추어야 할 요건의 하나인‘자기에게 책임 없는 사유’의 유무는 사회통념에 비추어 제3자가 당해 소송에 참가를 할 수 없었던 데에 자기에게 귀책시킬 만한 사유가 없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사안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서, 제3자가 종전 소송의 계속을 알지 못한 경우에 그것이 통상인으로서 일반적 주의를 다하였어도 알기 어려웠다는 것과 소송의 계속을 알고 있었던 경우에는 당해 소송에 참가를 할 수 없었던 특별한 사정이 있었을 것을 필요로 한다. 나. ‘가’항의 사유에 관한 입증책임은 그러한 사유를 주장하는 재심원고인 제3자에게 있고, 더욱이 제3자가 종전 소송이 계속중임을 알고 있었다고 볼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종전 소송이 계속중임을 알지 못하였다는 점을 제3자가 적극적으로 입증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가.나. 행정소송법 제31조 제1항 / 나. 제26조[입증책임]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재심피고), 피상고인】 【피고(재심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조용락 【제3자(재심원고), 상고인】 대륙산업 주식회사 외 85인 제3자(재심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달식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2.22. 선고 92재구7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제3자(재심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행정소송법 제31조 제1항은 처분 등을 취소하는 판결에 의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제3자는 자기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소송에 참가하지 못함으로써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공격 또는 방어방법을 제출하지 못한 때에는 이를 이유로 확정된 종국판결에 대하여 재심의 청구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에 의하여 제3자가 재심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하는 경우에 갖추어야 할 요건의 하나인‘자기에게 책임 없는 사유’의 유무는 사회통념에 비추어 제3자(재심원고, 이하 재심원고라고 한다)가 당해 소송에 참가를 할 수 없었던 데에 자기에게 귀책시킬 만한 사유가 없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사안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서, 제3자가 종전 소송의 계속을 알지 못한 경우에 그것이 통상인으로서 일반적 주의를 다하였어도 알기 어려웠다는 것과 소송의 계속을 알고 있었던 경우에는 당해 소송에 참가를 할 수 없었던 특별한 사정이 있었을 것을 필요로 하고, 이에 관한 입증책임은 그러한 사유를 주장하는 재심원고에게 있다고 할 것이다. 더욱이 제3자가 종전소송이 계속중임을 알고 있었다고 볼 만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종전 소송이 계속중임을 알지 못하였다는 점을 제3자가 적극적으로 입증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은 재심원고들이 자기들에게 책임 없는 사유로 재심대상의 소송에 참가하지 못한 것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에 부합하는 증거를 배척한 후 오히려 거시증거에 의하면 재심원고들을 조합원으로 하여 조직된 서울특별시화물자동차운송사업조합에서 위 소송의 결과가 조합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을 감지하고 그 재판의 변론기일에 직원을 법정에 출입시켜 재판진행상황을 알아보게 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재심원고들은 위 소송의 변론종결일 이전에 이미 소송이 계속중인 사실을 알고 있었고 가사 그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통상인으로서의 일반적 주의를 다 하였더라면 이를 알 수 있었을 것이어서, 소송이 계속중임을 알고도 이에 참가할 수 없었던 특별한 사정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는 아무런 자료가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 재심원고들로서는 행정소송법 제31조에 의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위 인정 및 판단은 위에서 설시한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보면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행정소송법 제31조의 법리를 오해하여 입증책임을 전도하거나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제3자 재심, 아무나 할 수 없다! "책임 없는 사유"란 무엇일까?

재판 결과에 영향을 받는 제3자가 재심을 청구하려면, 원래 재판에 참여하지 못한 데에 본인의 잘못이 없어야 합니다. 단순히 재판이 진행 중인 것을 몰랐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알았더라도 참여할 수 없었던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정을 입증할 책임은 재심을 청구하는 제3자에게 있습니다.

#재심#제3자#자기에게 책임 없는 사유#입증책임

형사판례

내가 재판에 안 나간 건 내 잘못이 아니라고요! - 항소권 회복과 재심

소송 지연을 막기 위해 피고인에게 연락이 닿지 않으면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할 수 있는 특례 규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재판받은 피고인이 정당한 사유로 재판에 출석하지 못했다면 재심 사유가 되고, 항소심에서 이를 확인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피고인 부재 재판#항소권 회복#재심 사유#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세무판례

재심, 아무 이유로나 할 수 없어요!

이미 확정된 판결에 대해 다시 재판을 받을 수 있는 '재심'은 엄격한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단순히 패소했거나 나중에 다른 판결이 나왔다고 해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재심#요건#패소#확정판결

형사판례

내가 재판에 참석도 못 했는데 유죄라고? 억울해!

피고인이 자신의 잘못 없이 재판에 출석하지 못했는데, 법원이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여 유죄 판결을 내린 경우, 나중에라도 상고를 통해 판결을 다툴 수 있다.

#피고인 부재#상고권 회복#상고#재심

형사판례

재심 청구할 수 있었는데, 상고권 회복했네? 그럼 재심 사유 있는거 맞지!

피고인이 자신의 책임 없는 사유로 재판에 출석하지 못했는데, 법원이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여 유죄 판결이 확정된 경우, 피고인은 재심을 청구할 수 있고, 재심 대신 상고권회복을 통해 상고를 한 경우에도 이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된다.

#재판불출석#피고인#상고권#재심권

형사판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재판이 끝났다고? 억울한 유죄 판결, 구제받을 수 있을까?

피고인이 자신의 책임 없는 사유로 재판에 출석하지 못한 상태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면, 나중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1심과 2심 모두 피고인이 출석하지 않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피고인 불출석#재심#상고권회복#소송촉진특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