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보상금등지급청구부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4누3056

선고일자:

199405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업무상 질병으로 심신의 기능이 쇠약해진 상태에서, 작업중 입은 추간판탈출증 때문에 척추수술을 받기 위해 대기중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겹쳐 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한 것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광부로 일하면서 얻게 된 진폐증으로 심폐기능이 약화된 상태에서 작업중 괴탄에 맞아 입은 추간판탈출증 등으로 병상생활을 계속하는 동안 업무상 질병이 호전되지 아니하고 심신의 기능이 쇠약해진 상태에서 척추수술을 받기 위해 입원대기중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겹쳐 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한 경우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태백지방노동사무소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1.14. 선고 92구1487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그 설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하여 소외인이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에서 광부로 일하면서 얻게 된 진폐증으로 심폐기능이 약화된 상태에서 힘들게 근무하던 중 사망 1년 2개월 전 무렵 작업중 괴탄에 맞아 입은 추간판탈출증 등으로 1년 이상 계속 여러 병원을 거치며 병상생활을 계속하는 동안 위 업무상의 질병이 호전되지 아니하고 심신의 기능이 쇠약해진 상태에서 척추수술을 받기 위하여 입원대기중 더욱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겹쳐 심근경색증을 유발하여 사망하게 된 것으로 봄이 상당하므로 위 망인의 사망은 그 업무와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업무상재해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업무상 재해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만운(재판장) 김주한 김석수(주심) 정귀호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진폐증으로 고통받다 자살한 광부, 산재 인정될까?

오랜 기간 진폐증을 앓던 광부가 병의 악화로 인한 정신적 고통으로 자살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했습니다.

#진폐증#자살#업무상재해#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탄광에서 일하다 돌아가신 아버지, 산재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오랜 기간 탄광에서 일하다 진폐증을 얻은 근로자가 식도암 수술 후 폐렴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진폐증과 사망 사이에 상당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업무상 재해를 인정했습니다. 진폐증이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아니더라도, 기존 질병(식도암 수술 후유증)과 복합적으로 작용하거나 기존 질병을 악화시켜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에도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판례입니다.

#진폐증#사망#업무상 재해#상당인과관계

일반행정판례

과로와 스트레스로 기존 질병 악화 사망, 산재 인정!

야간 경비 업무를 하던 근로자가 업무 과중과 스트레스로 인해 기존의 지방심이 악화되어 사망한 경우, 업무상 재해로 인정됨. 노동부 예규는 법적 구속력이 없음.

#과로#스트레스#기존질병 악화#사망

일반행정판례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한 급성 심근경색, 산재 인정될까?

기존 질병이 있더라도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가 질병을 악화시켜 사망에 이르게 했다면 산업재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과로#스트레스#심근경색#산재

일반행정판례

과로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 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 산재 인정될까?

장기간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던 근로자가 통근버스를 타려고 뛰다가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업무상 과로와 스트레스가 사망의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을 인정하여 업무상 재해로 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통근버스#과로사#업무상 재해#급성 심부전

일반행정판례

과로로 인한 졸도 사망, 산재 인정될까?

평소 심장병(관상동맥계질환)을 앓던 근로자가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해 졸도하여 사망한 경우, 업무와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산업재해로 인정된 사례.

#과로사#산재#기존질병#업무상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