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4다32474

선고일자:

1994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동차의 조수석에 탑승한 피해자에게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하도록 주의를 촉구하고 중앙선을 침범한 채 반대차선으로 내리막길을 운전하지 않도록 적극 제지하지 아니한 잘못이 있음을 들어 30% 과실상계를 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동료사원끼리 놀러 갔다 밤늦게 동료사원이 운전하는 자동차의 조수석에 탑승하여 돌아오던 중 교통사고를 당한 사안에서, 피해자에게 피곤한 상태에서 운전하는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하도록 주의를 촉구하고 중앙선을 침범한 채 반대차선으로 내리막길을 운전하지 않도록 적극 제지하지 아니한 잘못이 있음을 들어 30% 과실상계를 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제39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0.2.26. 선고 79다2271 판결(공1980,12694)1986.2.11. 선고 85다카1422 판결(공1986,448)1992.5.12. 선고 91다40993 판결(공1992,184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윤순현 소송대리인 변호사 심재왕 【피고, 피상고인】 석진양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4.5.17. 선고 93나4227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이, 원고는 피고가 경영하는 회사의 동료 사원인 소외 인과 함께 이 사건 사고 차량을 이용하여 지리산 화엄사에 놀러 갔다가 소외인이 운전하는 위 차량의 조수석에 타고 밤늦게 돌아오던 중 이 사건 사고를 당하게 된 사실, 소외인은 내리막길인 이 사건 도로의 중앙선을 침범한 채 반대차선으로 진행하다가 이 사건 사고를 일으킨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차량의 조수석에 타고 있던 원고로서는 소외인이 야간에 피곤한 상태에서 위 승용차를 운전함에 있어 안전운전을 하도록 주의를 촉구하고, 중앙선을 침범한 채 반대차선으로 내리막길을 운전하지 아니하도록 적극 제지하였어야 할 터인데도 이를 게을리한 잘못이 있다 하여 이에 터잡아 원고의 손해배상액을 30% 정도 감경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박만호(주심) 박준서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차에 같이 탔다고 운전 잘못까지 책임져야 할까요? 동승자 책임에 대한 오해와 진실!

운전자가 난폭운전 등으로 사고 위험이 크다는 것을 동승자가 알 수 있었던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단순한 동승자에게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촉구할 의무는 없다. 특히 승합차 뒷좌석 동승자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승합차#동승자#안전운전 촉구 의무#과실 없음

민사판례

조수석 동승자의 책임과 교통사고, 그리고 장애로 인한 간병비는 어떻게 계산될까?

교통사고에서 조수석 탑승자가 운전자의 위험 운전을 방치한 경우 과실이 있다고 본 사례와, 하반신 마비 환자의 개호 필요성을 인정하고 개호비를 산정한 사례입니다.

#조수석 동승자 과실#안전운전 촉구 의무#하반신 마비#개호비

민사판례

내 차 타고 사고났는데 내 잘못도 있다고? 동승자이자 차주의 손해배상에 관한 이야기

차량 소유자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운전자 과실로 사고가 나 손해를 입었을 경우, 소유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운전자의 과실을 고려해야 한다.

#차량 소유자#동승#운전자 과실#손해배상

민사판례

굽은 길 계곡 추락 사고, 과연 도로의 책임일까?

운전자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계곡으로 추락한 사고에서, 도로에 방호울타리가 없었다는 이유만으로 지자체의 도로 관리 책임을 물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운전자 과실#도로 관리 하자#방호울타리#중앙선 침범

민사판례

17세 여고생, 교통사고로 사망... 동승자에게도 책임이 있을까?

운전자가 난폭 운전 등으로 사고 위험이 명백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순한 동승자에게는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촉구할 의무가 없다.

#동승자#안전운전 촉구 의무#과실 책임#난폭운전

민사판례

내 차에 타고 있었는데, 내가 고른 운전자 때문에 사고가 났다면?

차량 소유주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본인이 지정한 운전자의 과실로 사고가 났을 경우, 소유주의 손해배상액 산정 시 운전자의 과실을 참작해야 한다.

#차량 소유주 동승#운전자 과실 참작#손해배상#무상동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