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

사건번호:

94도1199

선고일자:

199408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횡단보도 보행등 측면에 설치된 종형 이색등신호기를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마에 대한 진행방법을 지시하는 신호기로 본 사례

판결요지

횡단보도의 양쪽끝에 서로 마주보고 횡단보도의 통행인을 위한 보행자신호등이 각 설치되어 있고 그 신호등 측면에 차선진행방향을 향하여 종형 이색등신호기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면, 종형 이색등신호기는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마에 대한 진행방법을 지시하는 신호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사례.

참조조문

도로교통법 제4조 , 제5조 , 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5조 별표 2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2.1.21. 선고 91도2330 판결(공1992,957)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 사 【원심판결】 대전지방법원 1994.4.1. 선고 93노143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 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사고지점은 대전시내와 옥천을 연결하는 편도 2차선 도로와 판암동 주공 4단지 쪽으로의 편도 2차선 도로가 교차하는 "ㅓ"자형 삼거리로서, 대전시내 쪽의 도로상에는 차량정지선이 설치되어 있을 뿐 아무런 신호등이나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주공 4단지 쪽의 도로상에는 횡단보도만 설치되어 있고 횡단보도 신호등이나 차량신호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옥천쪽의 도로상에는 교차로에 연이어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고, 위 횡단보도상에는 보행자 신호등과 아울러 차량의 직진, 주의, 정지만을 표시하는 녹색, 황색, 적색의 횡형삼색신호등(이하 이 사건 신호등이라 한다)이 차도측 양측면에 서로 반대방향(대전시내 쪽과 옥천 쪽으로)을 향하여 각 1개씩 설치되어 있는데, 그 곳에 설치된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이 녹색신호일 때에는 적색신호를 , 적색신호일 때에는 녹색신호를 표시하고 있는 사실, 한편 이 사건 교차로상에는 중앙선을 비롯한 차선이나 비보호좌회전표시 등 특별히 좌회전을 허용 또는 금지하는 표시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옥천 쪽 도로상 횡단보도의 보행등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종형 이색등은 이 사건 신호등을 보조하는 신호기에 불과하고, 이 사건 신호등은 어디까지나 횡단보도상을 통행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마로 하여금 횡단보도에 진입하거나 그전에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신호기로 봄이 상당하고, 이를 교차로 통행방법까지 지시하는 신호기로 볼 수는 없으므로, 위 교차로는 신호기가 없는 교차로인 셈이 되어 위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는 차마는 이 사건 신호등의 신호가 어떤 것이든 간에 도로교통법 제22조에 규정된 교차로 통행방법에 따라서 좌회전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대전시내 쪽에서 녹색신호를 받고 좌회전하다가 이 사건 교통사고를 일으킨 피고인에 대해 신호위반이 아님을 이유로 공소기각의 판결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2. 그러나 사법경찰리 작성의 실황조사서 첨부도면 및 사진(수사기록 8 내지 10정)과 사법경찰관 작성의 수사보고서 첨부사진(수사기록 30 내지 32정)을 보면, 위 횡단보도의 양쪽끝에 서로 마주보고 횡단보도의 통행인을 위한 보행자신호등이 각 설치되어 있고, 그 신호등 측면에 차선진행방향을 향하여 종형 이색등신호기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사실이 인정되는바, 위 종형 이색등신호기는 횡단보도를 통과하려는 차마에 대한 신호기라고 보여지므로, 원심판시와 같이 횡단보도 위에 가설된 이 사건 신호등이 오로지 차마의 횡단보도 통과방법을 지시하는 신호기라고 본다면 이중으로 동일한 용도의 신호기를 설치한 것이 되어 부당하다. 그리고 위 도면 및 사진에 의하면, 대전시내 쪽에서 옥천쪽을 향한 차선의 교차로 진입전 지점에 정지선이 그어져 있음이 인정되는바, 이는 교차로 진입전에 횡단보도 위에 가설된 이 사건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차마가 정차할 위치를 지정한 것으로 볼 것이므로, 이러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신호등은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마에 대한 진행방법을 지시하는 신호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당원 1992.1.21. 선고 91도 2330 판결 참조). 따라서 도로교통법 제4조, 제5조, 동법 시행규칙 제5조 별표 2, 3에 따라 이 사건 신호등이 녹색신호일 때에는 직진과 우회전만 할 수 있다 할 것이므로(이렇게 볼 경우 이 사건 신호등이 적색신호일 때에도 좌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대전시내 쪽에서 주공 4단지 쪽으로는 좌회전할 방법이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좌회전이 허용됨을 전제로 대전시내 쪽에서 옥천쪽 도로의 중앙선이 교차로 내에서 끊어진 것과도 맞지 아니한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으나, 교차로 내에서 중앙선이 끊어져 있는 것은 주공 4단지 쪽에서 좌회전하는 차마를 위하여 끊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그 점만으로 교차로 내에서의 좌회전이 허용된 것이라고는 단정할 수 없고, 대전시내 쪽에서 좌회전할 수 없다는 것 또한 신호체계가 잘못되어 있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이 사건 신호등의 성격이 달라지지는 아니한다 할 것이다), 녹색신호일 때에 좌회전을 하다가 반대편에서 직진신호를 받고 직진해 오던 피해차량을 들이받는 사고를 일으킨 피고인은 결국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 제1호가 정하는 신호위반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다만 이 사건 사고지점에 비보호좌회전표시는 없으나 위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허용해도 교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등 사정으로 교통경찰에 의하여 사실상 비보호좌회전이 묵인되어 와서 그곳을 통행하는 운전자들에게 좌회전이 관행화되어 있었다면, 비보호좌회전이 허용된 것으로 볼 여지가 있을 것이다). 원심으로서는 위와 같은 신호체계의 내용과 구체적 사정을 좀더 세밀하게 판단하였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이름이 없이 위와 같이 판단하고 말았음은, 도로교통법상의 신호체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석수(재판장)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횡단보도 신호등, 교차로 통행에도 영향을 줄까요? 🚦

횡단보도 옆에 설치된 삼색등 신호기는 보행자뿐 아니라 차량의 교차로 통행도 규제한다. 비보호 좌회전 표시가 없다면 녹색 신호에서도 좌회전은 허용되지 않는다.

#횡단보도#삼색등#교차로 통행 신호#좌회전

형사판례

교차로 직전 횡단보도에서의 우회전, 신호위반일까?

교차로 바로 앞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신호가 녹색이고 차량 신호가 적색일 때 우회전하다 사고를 내면 신호위반이다. 횡단보도 옆에 별도의 차량 보조 신호등이 없더라도 마찬가지다.

#횡단보도#우회전#적색 신호#신호위반

형사판례

횡단보도 신호등, 교차로 통행에도 적용될까?

횡단보도 앞에 설치된 신호등이라도 교차로 통행 차량을 위한 신호등으로 볼 수 있다.

#횡단보도 신호등#교차로 신호등#신호위반#대법원

형사판례

횡단보도 우회전, 신호위반일까? 아닐까? 🚦

교차로 직전 횡단보도에 별도의 차량 보조 신호등이 없더라도, 교차로 신호등이 적색이고 횡단보도 보행 신호등이 녹색일 때 우회전하는 것은 신호위반이다.

#횡단보도#우회전#신호위반#적색신호

형사판례

보행자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운전자는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횡단보도에 보행등이 없더라도, 횡단보도 표시가 있다면 운전자는 보행자 보호 의무를 지켜야 한다. 교차로의 파란불 신호는 교차로 통행을 허용하는 것이지,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 의무를 면제하는 것이 아니다.

#횡단보도#보행자 보호 의무#보행등 유무#파란불 신호

형사판례

녹색 점멸등에서 횡단보도 건너다 사고나면 누구 잘못일까?

보행 신호가 녹색 점멸일 때 횡단보도를 건너기 시작하면 안 됩니다. 만약 이를 어기고 횡단하다 사고가 나면 운전자에게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의무' 위반은 없다는 판결입니다.

#녹색점멸#횡단보도#사고#보행자보호의무 위반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