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마약)

사건번호:

94도802

선고일자:

199405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매매를 알선하기 위한 견본용 마약을 소지한 행위가 구 마약법 제60조 제1항 소정의 매매알선목적소지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구 마약법(1993.12.27. 법률 제46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조 제1항 소정의 매매알선목적소지죄는 그 소지한 마약 자체가 반드시 매매의 목적이 되는 경우에만 성립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매매를 알선키 위한 견본용 마약을 소지한 경우에도 성립한다.

참조조문

구 마약법 (1993.12.27. 법률 제46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김태봉 외 1인 【원심판결】 광주고등법원 1994.2.24. 선고 93노91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후의 구금일수중 35일씩을 각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1. 피고인들 및 그 변호인들의 각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이, 피고인들이 적극적으로 이 사건 마약을 매매알선하는 과정에서 이를 소지하게 된 사실을 인정하고, 피고인들이 이른바 함정수사에 의하여 이 사건 마약 소지의 범의가 비로소 야기되었다고 할 수는 없으므로 피고인들의 행위가 함정수사에 의한 것으로서 처벌할 수 없다는 주장을 모두 배척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헌법 제12조 등 위반 및 함정수사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피고인 1, 2, 3의 각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이, 피고인들이 매매알선목적으로 이 사건 마약을 소지하였다고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데에 소론과 같은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으므로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피고인들의 변호인들의 각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마약법 제60조 제1항 소정의 매매알선목적소지죄는 그 소지한 마약 자체가 반드시 매매의 목적이 되는 경우에만 성립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매매를 알선키 위한 견본용 마약을 소지한 경우에도 여기에 해당한다 할 것인바,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들이 소지한 이 사건 아편 0.2그램은 견본용에 불과하여 그 자체가 매매용이 아니므로 그것을 소지한 행위는 위 법조 소정의 매매알선목적소지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피고인들의 주장을 모두 배척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마약의 매매알선목적소지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 또한 받아들일 수 없다. 4. 피고인 4의 상고이유 제2점 및 피고인 1, 2, 3의 각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형의 양정이 무거워 부당하다는 주장들은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논지들 역시 이유가 없다. 5. 이에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후의 구금일수 중 35일씩을 각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윤영철 박만호(주심) 박준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팔려고 가지고만 있어도 처벌받나요?

마약을 팔려고 가지고 있다가 실제로 팔았거나 팔려고 시도했더라도, 판매 목적 소지죄는 따로 처벌받는다. 즉, 판매죄와 판매 목적 소지죄는 별개의 죄로 취급되어 동시에 처벌될 수 있다.

#마약#판매목적소지죄#판매죄(미수)#별개

형사판례

마약,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불법일까요?

마약을 계속적, 영업적으로 취급하는 전문적인 업자가 아니더라도, 단순히 마약을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마약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단순소지#처벌#마약법위반

형사판례

마약 매매·소지만 했다면 교육 이수명령은 안돼요!

마약을 사고팔거나 소지했더라도, 실제로 투약하지 않았다면 법원이 재활 교육 이수를 명령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마약#교육이수명령#투약#대법원

형사판례

마약류 매매, 언제 범죄가 시작될까? - 실행의 착수시점

마약류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송금했지만 마약을 받지 못한 경우, 판매자가 마약을 소지/입수했거나 가능한 상태였다면 매수 행위의 실행의 착수로 볼 수 있다.

#마약류#매매 미수#대금 송금#실행의 착수

형사판례

대마 씨앗, 마약 판매일까? 아니일까?

껍질이 붙어있는 대마초 씨앗을 사고파는 것은 대마 매매로 처벌할 수 없다.

#대마초 씨앗#매매#불법 아님#무죄

형사판례

수사 협조 중 마약 판매, 범죄일까? 함정수사일까?

마약 수사에 협조한다는 명목으로 마약 판매에 나섰더라도, 수사기관의 지시 범위를 벗어나 사적인 이익을 위해 마약을 판매했다면 마약 판매 범죄가 성립한다.

#마약 판매#수사 협조#사적 이익#범죄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