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관기피신청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94모73

선고일자:

1994110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형사피고사건의 담당 재판장이 변호인 신청의 증인에 대한 증인신문사항의미제출을 이유로 그 증인채택결정을 취소하자, 이를 이유로 제기된 법관기피신청을 기각한 사례

판결요지

형사피고사건의 담당재판부의 재판장이 변호인에 대하여 그 신청의 증인에 대한 증인신문사항의 제출을 명한 것은 형사소송법 제279조, 형사소송규칙 제66조에 따른 적법한 소송지휘권의 행사이고, 재판부가 그 신문사항의 미제출을 이유로 증인채택결정을 취소한 것도 같은 규칙 제67조에 의한 적법한 조치이므로 이를 위법 또는 부당하다고 할 수 없고, 달리 재판부가 증거취소결정을 한 것이 실체적 진실발견을 추구할 의사가 없음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볼 자료가 없는 이상 법관기피신청을 기각한 결정은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279조 , 형사소송규칙 제66조 , 제6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재항고인】 변호인 변호사 백승헌 【원심결정】 서울고등법원 1994.10.20. 자 94로7 결정 【주 문】 재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이 사건 피고사건의 담당재판부의 재판장이 변호인에 대하여 그 신청의 3인이 증인에 대한 증인신문사항의 제출을 명한 것은 형사소송법 제279조, 형사소송규칙 제66조에 따른 적법한 소송지휘권의 행사이고, 재판부가 그 신문사항의 미제출을 이유로 위 3인의 증인채택결정을 취소한 것도 위 규칙 제67조에 의한 적법한 조치이므로 이를 위법 또는 부당하다고 할 수 없고, 달리 재판부가 증거취소결정을 한 것이 실체적 진실발견을 추구할 의사가 없음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볼 자료가 없다고 하여 이 사건 기피신청을 기각한 제1심결정이 정당하다고 판단한 다음, 특히 재판장이 검찰과의 협의를 거쳐 증인신문사항의 제출을 명하였음을 들어 위와 같은 재판부의 조치가 적정한 소송지휘권의 행사라고 할 수 없다는 이 사건 신청인측의 주장에 대하여는, 재판장이 증인신문사항의 제출을 명함에 앞서 검찰과의 협의를 거쳤다고 알아볼 만한 자료가 없다고 하여 이를 배척하였다. 관계법령의 규정내용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 인정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재판에 영향을 미친 법령의 위반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소론은 원심이 가사 이 사건 재판장이 증인신문사항의 제출을 명함에 있어 검찰과의 협의를 거쳤다 하더라도 이는 재판장이 소송지휘권을 행사함에 있어 소송관계인의 의견을 들은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부당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한 부분을 들어 원심결정을 비난하나, 그 전제사실인 이 사건 재판장이 검찰과의 협의를 거쳤다는 점에 대하여는 이를 소명할 자료가 없음은 앞서 본 바와 같으므로, 원심의 위와 같은 부가적 판단이 정당한지 여부는 이 사건 재판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할 것이고, 따라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판장 기피신청, 어떤 경우에 받아들여질까?

법관의 언행이나 소송대리인 변경 등이 법관 기피 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법관 기피#기각#객관적 근거#소송 지휘권

형사판례

증거신청 기각과 법관 기피, 그리고 소송 지연 목적의 기피신청

판사가 내가 원하는 증거를 채택하지 않았다고 해서, 또는 재판을 질질 끌 목적으로 판사를 바꿔달라고 하는 것은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재판부 기피신청#증거신청 기각#소송 지연#불공평한 재판

형사판례

판사님, 편파적인 것 같아요! - 기피신청, 언제 받아들여질까?

판사가 증거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증인신문을 제지했다고 해서 무조건 "불공정한 재판을 할 우려가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객관적으로 봤을 때 판사가 불공정하게 재판할 것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이 들어야 한다.

#판사 기피#증거신청 기각#증인신문 제지#불공정한 재판

형사판례

증거로 채택 안 된 자료, 법원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법원은 증거로 채택되지 않은 서류를 받아서는 안 되고, 이미 받았다면 돌려줘야 합니다. 이를 어겼더라도 판결에 영향이 없다면 판결은 유지될 수 있습니다.

#증거능력#서류#반환#형사소송규칙

형사판례

검사의 신문 누락, 과연 문제될까? 재판 절차의 중요성

검사가 공소사실 일부에 대한 피고인 신문을 빠뜨렸더라도, 변호인이 추가 질문을 하지 않았고, 재판장이 피고인에게 충분한 진술 기회를 제공했다면, 재판 절차에 문제가 없다는 판결.

#검사 신문 누락#변호인 추가 질문 부재#재판장 진술 기회 보장#공정 재판

형사판례

재판 지연 목적의 기피 신청, 받아들여질까?

피고인 측이 재판을 지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판사 기피 신청을 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습니다. 판사 기피는 재판의 공정성을 해칠 명백한 객관적 사유가 있어야 가능한데, 단순히 판결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주관적인 이유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기피신청 기각#재판지연#공정성#객관적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