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신안등록무효

사건번호:

94후1640

선고일자:

1995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실용신안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신규성 및 진보성 있는 고안의 의의 나. 진보성 판단대상 물품이 기술분야가 같다면 반드시 고안 대상 물품과 동일한 것에 한정되는지 여부 다. 양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고, 일부 기술의 수·배열이나 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신규성·진보성을 인정하지 아니한 사례

판결요지

가. 실용신안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고안은 물품의 외형적 형상, 구조 또는 조합의 신규성에 의하여 이룩되는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 어느 정도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이고 공지공용의 고안에 재료와 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그 변경으로 인하여 아무런 작용 효과상의 진보를 가져오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를 가리켜 신규성 및 진보성이 있는 고안이라 할 수 없다. 나. 실용신안의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되는 물품은 그 기술분야가 같다면 반드시 그 고안의 대상 물품과 동일한 것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다. 양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고, 일부 기술의 수·배열이나 형태를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신규성·진보성을 인정하지 아니한 사례.

참조조문

실용신안법 제4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2.5.26. 선고 91후1663 판결(공1992,2022), 1988.1.12. 선고 87후103 판결(공1988,411), 1990.2.13. 선고 88후752 판결(공1990,652), 1991.1.15. 선고 90후212 판결(공1991,751), 1993.5.11. 선고 92후1387 판결(공1993하,1709), 1994.11.10. 자 93마2022결정(공1995상,33), 1994.12.23. 선고 93후2080 판결(공1995상,676), 1991.11.26. 선고 91후332 판결(공1992,313)

판례내용

【심판청구인, 상고인】 【피심판청구인, 피상고인】 【원심심결】 특허청 1994. 8. 16.자 92항당324 심결 【주 문】 원심심결 중 이 사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부분을 파기한다.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와 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 중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부분을 함께 판단한다. 원심심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본건 등록고안의 등록청구범위 제1항과 갑 제5호증의 인용고안(1988. 10. 7.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하여 1990. 12. 8. 공고번호 90-10969호로 공고된 "어항용정수기" 고안)을 대비하여 보면, 본건 등록고안은 도브테일 돌출부(22)를 가진 지지판(21)을 기포발생기 몸체(1)의 기포발생부(11)을 제외한 외주면 중앙 부위 각각에 말단에 단턱을 가지는 소정 길이로 형성한 도브테일 홈(12)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위 인용고안은 부착판(15)에 형성된 결합돌기(14)와 모터케이스 일측에 돌기부(11)를 형성하여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요철부로 형성함이 서로 유사하기는 하지만, 본건 등록고안의 요부는 도브테일 홈(12)이고 이는 기포발생기 몸체(1)의 4면 중앙에 단턱을 가지는 말단을 형성하여 소정 길이로 홈을 형성한 것으로 필요한 위치에 따라 어항 내의 유리면 어느 위치에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위 인용고안은 모터케이스(3)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부(11)를 손잡이 지지체(12)와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본건 등록고안과 같이 사방 어디에나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 없는 것이므로, 결국 본건 등록고안 청구범위 제1항과 위 인용고안은 동일성의 범주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실용신안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고안은 물품의 외형적 형상, 구조 또는 조합의 신규성에 의하여 이룩되는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 어느 정도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이고 공지공용의 고안에 재료와 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그 변경으로 인하여 아무런 작용 효과상의 진보를 가져오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를 가리켜 신규성 및 진보성이 있는 고안이라 할 수 없으며, 실용신안의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되는 물품은 그 기술분야가 같다면 반드시 그 고안의 대상 물품과 동일한 것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대법원 1992. 5. 26.선고 91후1663 판결 참조). 기록에 의하여 살피건대, 본건고안과 위 인용고안은 모두 어항 내의 기포발생기나 모터케이스의 몸체를 어항유리벽면에 부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므로 그 기술사상이 동일하고, 부착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 점에 있어서도 양고안은 차이점이 없으며, 다만 본건고안은 기포발생기 몸체의 3면에 부착홈을 설치하여 유리벽면에 부착된 흡착판을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아니하고도 기포발생기의 부착홈을 바꿔 부착시킴으로써 기포가 나가는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위 인용고안에서의 부착판의 수 또는 배열이나 형태를 변경한 것에 불과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신규성 및 진보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그 기술적 구성 및 작용효과가 서로 다르다고 하여 본건 고안과 위 인용고안은 동일한 권리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결국 원심은 고안의 동일성과 진보성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심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지른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상고이유 중 이 점을 지적하는 부분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심결 중 이 사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인조합판 고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새로운 인조 합판 제작 기술이 기존 기술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형에 불과하여 특허로 인정되지 않은 사례.

#인조 합판#진보성 부정#특허 거절#기존 기술

특허판례

해태구이기 소금공급장치, 실용신안권 침해일까?

이 사건은 해태구이기의 소금공급장치에 대한 실용신안권 침해 여부를 다룬 판결로, 대법원은 실용신안의 권리범위는 등록출원서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명세서의 다른 기재는 청구범위의 기재만으로 기술적 범위가 명확한 경우 이를 제한 해석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또한, 이 사건 등록고안은 종래 기술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진보성이 없어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해태구이기#소금공급장치#실용신안권 침해#권리범위

특허판례

고안의 진보성, 어떻게 판단할까요? 🧐

새로운 고안이 기존 기술보다 진짜로 발전된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기존 기술을 조합하는 정도로는 진보성을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고안#진보성#선행기술#차이점

민사판례

진보성 없는 실용신안권 주장, 권리남용일까?

새롭지 않은 기술로 등록된 실용신안권을 이용하여 부당하게 다른 사람의 사업 활동을 방해하는 것은 권리남용으로 인정되어 보호받지 못한다.

#실용신안권#진보성#권리남용#침해소송

특허판례

세라믹 필터 특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기존 기술들을 조합하여 만든 세라믹 필터 제조 방법에 대해, 새로운 기술이나 예상치 못한 효과가 없다면 특허로서의 진보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판결.

#세라믹 필터#특허#진보성 부정#기존 기술 조합

특허판례

정수기 특허 분쟁, 대법원 판결 분석!

코웨이와 청호나이스 간 정수기 특허 침해 소송에서 대법원은 특허 청구범위 해석, 명세서 기재 요건, 진보성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법원에 환송했습니다. 즉, 특허의 보호 범위를 어떻게 해석하고, 특허 출원 당시의 기술 수준을 어떻게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법리를 원심이 잘못 적용했다는 것입니다.

#정수기#특허#침해소송#청구범위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