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정류소폐지및운행경로변경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16516

선고일자:

199602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있어서 정류장 또는 정류소의 폐쇄, 설치, 이전 및 관리 등 물적 시설에 관한 관할권의 소재

판결요지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있어서 어느 노선이 사업계획에 포함된 경유지의 변경이나 기점, 종점 또는 중간정류소의 변경으로 운송사업계획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에 그 사업계획변경에 관한 인가 또는 사업개선명령의 관할권은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있지만, 어느 정류장 또는 정류소의 설치, 폐쇄, 이전 및 관리 등 물적 시설에 관한 관할권은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있으므로, 기존의 정류장 또는 정류소의 폐쇄 또는 이전 등으로 중간정류소가 없어지거나 노선이 일부 변경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이는 별도로 해당 운송사업자가 사업계획변경의 인가를 받거나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사업계획변경을 명하여 현실과 일치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물적 시설인 정류소 또는 정류장을 폐쇄 또는 이전하는 권한이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아닌 운송사업자의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자동차운수사업법 제69조 , 자동차운수사업법시행령 제9조 , 자동차운수사업법시행규칙 제2조 제1항 ,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누6341 판결(공1993상, 737)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한성여객자동차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채홍) 【피고,피상고인】 경상북도지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신성국)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5. 10. 6. 선고 94구318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노선여객자동차운송사업에 있어서 어느 노선이 사업계획에 포함된 경유지의 변경이나 기점, 종점 또는 중간정류소의 변경으로 운송사업계획의 변경을 가져오는 경우에 그 사업계획변경에 관한 인가 또는 사업개선명령의 관할권은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있지만, 어느 정류장 또는 정류소의 설치, 폐쇄, 이전 및 관리 등 물적 시설에 관한 관할권은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있는 것이고( 당원 1993. 1. 15. 선고 92누6341 판결 참조), 기존의 정류장 또는 정류소의 폐쇄 또는 이전 등으로 중간정류소가 없어지거나 노선이 일부 변경되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이는 별도로 해당 운송사업자가 사업계획변경의 인가를 받거나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사업계획변경을 명하여 현실과 일치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물적 시설인 정류소 또는 정류장을 폐쇄 또는 이전하는 권한이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가 아닌 운송사업자의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 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사건 경주역앞 정류소를 폐지하는 행위는 물적 시설인 정류소의 폐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권한은 소재지를 관할하는 피고에게 있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자동차운수사업법 관련 법규를 오해한 위법이 없고, 또한 원심은 소론이 들고 있는 당원 1993. 1. 15. 선고 92누6341 판결을 따른 것으로서 위 판례를 위반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이, 위 경주역앞 정류소를 폐지하는 것만으로 인하여 운행경로에 변경이 없다고 본 조치도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이유모순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시외버스 정류소 변경, 누가 결정하나요? (사업개선명령과 관할권)

시외버스 정류소 폐쇄 및 노선 변경과 관련된 사업개선명령의 관할권은 버스 회사 주사무소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지사에게 있으며, 사업개선명령은 행정청의 재량행위이다.

#시외버스#정류소 변경#사업개선명령#관할권

일반행정판례

버스 정류소, 어디까지가 같은 곳일까? 그리고 노선 변경 시 협의는 누구와 해야 할까?

시외버스 회사가 다른 시/도에 있는 정류소 위치를 변경하려면 해당 시/도와 협의해야 한다. '정류소'는 단순히 차량이 서는 지점만이 아니라 사회 통념상 같은 장소로 인정되는 일정 범위의 구역을 의미한다.

#시외버스#정류소 변경#관할#협의

일반행정판례

버스 노선 변경, 아무나 할 수 있을까?

기존 버스회사가 자기 노선 근처에 새로운 마을버스 노선이 생길 때, 자기 노선을 변경하여 그 구간을 운행하도록 우선적으로 허가받을 권리는 없다.

#버스 노선 변경#우선권 없음#신규 면허#기존 사업자

일반행정판례

버스 정류장 때문에 속상한 주민들 이야기

주민들이 주차장 부지를 버스정류장으로 변경한 것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걸었지만, 주민들에게는 도시계획 변경을 요구할 권리가 없다는 이유로 패소했습니다.

#주차장#버스정류장#용도변경#도시계획

일반행정판례

공항버스 운행, 아무나 할 수 없나요? 사업계획 변경은 재량!

전라북도지사가 해외여행객만 태울 수 있도록 제한된 공항버스 면허를 일반 공항버스처럼 누구나 태울 수 있도록 변경해달라는 사업자의 신청을 거부한 것은 적법하다.

#공항버스#한정면허#사업계획변경#불인가

일반행정판례

시내버스 운행시간 변경,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시내버스 회사가 운행 시간을 변경하려면 (관련 사업자 간 합의가 없는 한) 지자체의 인가를 받아야 하고, 지자체는 공익을 고려하여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신청 내용과 다르게 인가가 나더라도 신청 회사가 동의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시내버스#운행시간 변경#지자체 인가#재량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