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2708

선고일자:

199507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세액에 대한 추계조사결정의 요건 나. 양도 및 취득의 실지거래가액이 모두 확인되는 경우, 관계 법령과 조례에 의하여 취득관련 부대비용의 범위를 확정할 수 있는지 여부 다. 하나의 사업장에서 여러 필의 토지가 동시에 매매된 경우, 반드시 같은 방법으로 그 소득이 조사·결정되어야 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밝혀진 실액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고 추계조사 방법에 의하여 이를 결정하려면 납세자의 장부나 증빙서류 등이 없거나 그 중요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로 기재되어 신뢰성이 없고 달리 과세관청이 그 소득의 실액을 밝힐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때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므로 납세자가 소득세법이 정하는 장부를 비치· 기장한 바 없다고 하더라도 계약서 등 다른 증빙서류를 근거로 과세표준을 계산할 수 있다면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 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여야지, 추계조사 방법에 의해서는 아니된다. 나. 양도 및 취득의 실지거래가액이 모두 확인되는 이상 취득과 관련하여 지출한 부대비용의 실액을 확인할 만한 증빙서류가 없다고 하더라도 관계 법령과 조례 등이 그와 같은 비용 등에 관한 기준 등을 정하고 있다면 그러한 법령 등에 의하여 그 비용의 범위를 확정할 수 있다. 다. 과세대상이 되는 토지에 관한 소득 등을 어떠한 방법으로 조사·결정할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각 그 조사·결정방법에 관한 법정사유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각별로 결정되어야 하고, 하나의 사업장에서 여러 필의 토지가 동시에 매매되었다 하여 반드시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소득 등이 조사·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다. 구 소득세법(1994.12.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94조, 구 소득세법(1994.12.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8조, 소득세법시행령 제142조 제1항, 제2항 / 나. 구 소득세법 제45조, 제92조, 소득세법시행령 제94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0.11.25. 선고 80누433 판결(공1981,13467)>, 1987.2.24. 선고 85누978 판결(공1987,555), 1990.12.26. 선고 90누4655 판결(공1991,663)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남대구세무서장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5.1.13. 선고 92구193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밝혀진 실액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고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 이를 결정하려면 납세자의 장부나 증빙서류 등이 없거나 그 중요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로 기재되어 신뢰성이 없고 달리 과세관청이 그 소득의 실액을 밝힐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때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므로 납세자가 소득세법이 정하는 장부를 비치· 기장한바 없다고 하더라도 계약서 등 다른 증빙서류를 근거로 과세표준을 계산할 수 있다면 그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여야지, 추계조사방법에 의해서는 아니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양도 및 취득의 실지거래가액이 모두 확인되는 이상 취득과 관련하여 지출한 부대비용의 실액을 확인할 만한 증빙서류가 없다고 하더라도 관계 법령과 조례 등이 그와 같은 비용 등에 관한 기준 등을 정하고 있다면 그러한 법령 등에 의하여 그 비용의 범위를 확정할 수 있다고 할 것이고, 부대비용의 실액을 확인할 수 없다 하여 곧바로 추계방법으로 매매차익을 산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그 경우에 법령 등에서 정하는 금액을 넘는 지출이 있었다는 점에 관하여는 납세자에게 그 입증의 필요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토지 중 원심판결 별지 부동산거래내역표 제4, 5, 6, 7, 10, 11, 12 토지 등 7필지에 관하여는 양도가액과 취득가액이 모두 확인되므로 실지조사의 방법으로 이 사건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함이 상당하다고 한 다음 위 양도 및 취득의 실액과 관계 법령 또는 조례 등에 의하여 계산한 취득관련 부대비용을 기초로(원심인정 외의 항목이나 초과비용의 지출이 있었다는 점에 관한 원고의 주장· 입증이 없다) 그 판시와 같은 정당한 세액을 다시 산정한 것은 모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음을 찾아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리고 소론은 하나의 사업장에서 같은 시기에 매매가 이루어진 여러 필의 토지는 이를 모두 같은 방법으로 그 세액을 조사· 결정하여야 한다는 것이나 과세대상이 되는 토지에 관한 소득 등을 어떠한 방법으로 조사· 결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각 그 조사·결정방법에 관한 법정사유 중 어느것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각별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고 하나의 사업장에서 여러 필의 토지가 동시에 매매되었다 하여 반드시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소득 등이 조사·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김석수(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제대로 알고 내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세, 법인세 추계 과세)

이 판례는 소득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반드시 해당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쳐야 하며, 법인세 추계과세는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단일 과세목적물에 대해 실지조사와 추계조사를 혼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소득세#법인세#전심절차#추계과세

세무판례

세금, 맘대로 계산하면 안 돼요! 추계과세, 이럴 땐 안됩니다.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대로 된 장부나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추측으로 계산한 세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실제소득 과세원칙#추계과세#입증책임#장부

세무판례

세금 계산, 맘대로 추측해서 할 순 없다?! - 실지조사와 추계조사

소득세 계산은 실제 소득에 따라 하는 것이 원칙이며,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의 장부가 엉터리여서 믿을 수 없고, 다른 방법으로도 실제 소득을 알아낼 수 없는 특별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설령 장부에 일부 거짓 내용이 있더라도, 나머지 부분이 정확하다면 그 부분을 바탕으로 실제 소득을 계산해야 한다.

#소득세#실제소득#추계과세#장부

세무판례

세금, 추측으로 매길 수 있나요? 추계과세의 조건과 함정!

세무서가 장부가 없다는 이유로 비슷한 업종의 다른 가게 매출을 기준으로 세금을 추정해서 매겼는데, 법원은 두 가게의 위치 등 영업 환경이 달라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일부는 실제 조사, 일부는 추정으로 세금을 매기는 것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추계과세#유사업종비교#입지조건#입증책임

세무판례

장부 없어도 다른 증빙 있으면 추계과세 안돼요!

사업자가 법에서 정한 장부를 기록하지 않았더라도, 계약서 등 다른 서류로 소득을 계산할 수 있다면 세금 계산은 실제 소득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추정해서 계산하면 안 됩니다.

#장부#증빙서류#추계과세#실지소득

세무판례

세금, 함부로 추측해서 매기면 안 돼요!

세무서가 세금을 추계로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출한 자료가 부실하더라도 먼저 실제 금액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충분히 해야 하며, 다른 유사 사업자와 비교하는 방식을 쓸 때는 비교 대상이 적절한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추계과세#요건#실지조사#동업자 권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