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5누6809

선고일자:

1996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추계조사 결정의 요건 [2] 소득세법상 실지조사방법이 추계조사방법 보다 불리한 경우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야 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1]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따라 밝혀진 실액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고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 이를 결정하려면 납세자의 장부나 증빙서류 등이 없거나 그 중요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로 기재되어 신뢰성이 없고 달리 과세관청이 그 소득의 실액을 밝힐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때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므로 납세자가 비치, 기장한 장부나 증빙서류 중 일부 허위로 기재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사실에 부합하는 자료임이 분명하여 이를 근거로 과세표준을 계산할 수 있다면 그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여야지 추계조사방법에 의해서는 아니된다. [2] 우리 소득세법이 소득세과세표준의 결정은 실지조사결정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실지조사결정이 불가능할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추계조사결정의 방법에 의하도록 하고 있음에 비추어 실지조사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소득세액이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소득세액보다 많은지 적은지에 따라 그 과세표준의 결정방법의 적법 여부가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구 소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8조, 제120조( 현행 제80조 참조)/ [2] 구 소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8조, 제120조( 현행 제80조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0. 12. 26. 선고 90누4655 판결,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누8203 판결(공1992, 2579), 대법원 1992. 7. 24. 선고 91누8203 판결(공1992, 2579), 대법원 1992. 8. 18. 선고 92누1247 판결, 대법원 1995. 1. 12. 선고 94누10337 판결(공1995상, 928), 대법원 1995. 1. 12. 선고 94누10337 판결(공1995상, 928), 대법원 1995. 6. 30. 선고 94누149 판결(공1995하, 2645) /[2] 대법원 1995. 7. 14. 선고 94누3407 판결(공1995하, 2829), 대법원 1995. 8. 22. 선고 95누2241 판결(공1995하, 3296)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겸상고인】 【피고,상고인겸피상고인】 용산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5. 4. 19. 선고 93구34000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원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종합소득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따라 밝혀진 실액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고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 이를 결정하려면 납세자의 장부나 증빙서류 등이 없거나 그 중요 부분이 미비 또는 허위로 기재되어 신뢰성이 없고 달리 과세관청이 그 소득의 실액을 밝힐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때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므로 납세자가 비치, 기장한 장부나 증빙서류 중 일부 허위로 기재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사실에 부합하는 자료임이 분명하여 이를 근거로 과세표준을 계산할 수 있다면 그 과세표준과 세액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여야지 추계조사방법에 의해서는 아니된다고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소외 1과 함께 1986. 6. 26. 이후 그들 소유인 서울 (주소 생략) 지상에 오피스텔 1동을 신축하여 분양하는 사업을 공동으로 경영하면서 세무사인 소외 2로 하여금 위 사업에 관한 장부를 작성하게 하는 한편 스스로 현금출납에 관한 전표를 작성하여 오다가 이 사건 종합소득세신고와 관련한 실지조사신청에 즈음하여 이번에는 세무사인 소외 3에게 의뢰하여 그 신고서류인 장부 및 증빙서류 등을 작성하게 하면서 이보다 앞서 작성된 위 관련서류들을 모두 그에게 교부하였는데 위 소외 3은 이 과정에서 위 오피스텔의 신축공사대금을 실제보다 1,846,500,000원, 그 부지의 구입대금을 3,745,393,349원을 각 과다계상하는 외에는 이미 준비되어 있는 그 증빙서류 등을 토대로 위 사업의 실지 내용에 따라 관련 장부를 작성한 사실을 순차로 인정한 다음 위 소외 3이 작성한 장부 등의 과다계상 부분을 제거하고 사실과 부합하는 나머지 부분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실지조사결정의 방법에 따라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한 피고의 이 사건 부과처분을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과세표준 등의 산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소론은 실지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세액이 추계조사결정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세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후자의 세액을 고지세액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나 우리 소득세법이 소득세과세표준의 결정은 실지조사결정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실지조사결정이 불가능할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추계조사결정의 방법에 의하도록 하고 있음에 비추어 실지조사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소득세액이 추계조사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소득세액보다 많은지 적은지에 따라 그 적법 여부가 좌우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논지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2. 피고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과 관계 증거에 의하면, 원심이 원고와 소외 1의 공동사업으로 인한 손익분배비율을 60:274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위배하거나 심리를 미진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안용득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맘대로 추측해서 매길 수 있을까? 추계과세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세무서가 장부나 증빙 없이 세금을 추정해서 부과하는 '추계과세'는 원칙적으로 납세자의 장부 등이 믿을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해야 하지만, 애초에 장부가 엉터리여서 제대로 된 조사가 불가능한 것이 명백하다면 바로 추계과세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계과세는 납세자의 실제 소득과 최대한 가깝게 계산해야 하며, 납세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추계과세#적법성#실지조사#장부

세무판례

세무조사, 추측으로 세금 매기면 안 돼요!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해서 과세할 때는 추측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계산 방법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세무서가 증명해야 합니다.

#추계과세#입증책임#세무서#합리성

세무판례

세금, 추측으로 매길 수 있나요? 추계과세의 조건과 함정!

세무서가 장부가 없다는 이유로 비슷한 업종의 다른 가게 매출을 기준으로 세금을 추정해서 매겼는데, 법원은 두 가게의 위치 등 영업 환경이 달라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일부는 실제 조사, 일부는 추정으로 세금을 매기는 것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추계과세#유사업종비교#입지조건#입증책임

세무판례

세금, 맘대로 계산하면 안 돼요! 추계과세, 이럴 땐 안됩니다.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대로 된 장부나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추측으로 계산한 세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실제소득 과세원칙#추계과세#입증책임#장부

세무판례

세금, 함부로 추측해서 매기면 안 돼요!

세무서가 회사 대표의 여러 은행 계좌 입금액 전체를 매출 누락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했는데, 대법원은 그 계좌에는 회사 매출 외 다른 돈도 섞여 있어 이런 방식의 추계과세는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관련 형사 판결 내용이라도 과세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그대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추계과세#매출누락#입금액전체#위법

세무판례

종합소득세 계산,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소득세 계산 시 실제 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있다면 추정으로 계산하지 않고 실제 금액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여러 필지의 토지를 함께 팔았더라도 각 필지별로 세금 계산 방식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소득세#실거래가#추정계산#필지별 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