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이의

사건번호:

95다36138

선고일자:

1995120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징계절차 위반을 이유로 한 해고무효 판결 확정 후, 같은 사유를 들어 새로이 필요한 제반 징계절차를 밟아서 한 징계처분의 효력

판결요지

징계해고에 관한 절차 위반을 이유로 해고무효 판결이 확정된 경우 소급하여 해고되지 아니한 것으로 보게 될 것이지만, 그 후 같은 징계사유를 들어 새로이 필요한 제반 징계절차를 밟아 다시 징계처분을 한다고 하여 일사부재리의 원칙이나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볼 수는 없을 뿐더러, 법원의 판결을 잠탈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 , 민법 제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1. 5. 26. 선고 80다2945 판결(공1981, 13979), 대법원 1994. 9. 30. 선고 93다26496 판결(공1994하, 2820)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명진여객 합자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우영제)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5. 7. 5. 선고 94나3768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피고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의 경우와 같이 징계해고에 관한 절차 위반을 이유로 해고무효 판결이 확정된 경우 소급하여 해고되지 아니한 것으로 보게 될 것이지만, 그 후 같은 징계사유를 들어 새로이 필요한 제반 징계절차를 밟아 다시 징계처분을 한다고 하여 일사부재리의 원칙이나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볼 수는 없을 뿐더러, 법원의 판결을 잠탈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없다 할 것이므로( 당원 1994. 9. 30. 선고 93다26496 판결 참조), 같은 취지로 판단한 원심의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신의칙 위반 또는 일사부재리의 원칙과 관련한 당원 판례에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천경송(주심) 신성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가 징계해고를 취소하고 다시 해고할 수 있을까?

회사가 징계를 잘못해서 취소한 뒤, 새로운 사유로 다시 징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첫 번째 징계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어 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 번째 징계도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징계#재징계#절차적 하자#임금청구

일반행정판례

직위해제 후 징계시효 지나도 다시 징계할 수 있을까?

직원의 잘못으로 직위해제 및 면직 처분을 했는데, 절차상의 문제로 무효가 되었다면, 징계 시효가 지났어도 다시 징계할 수 있다.

#징계#시효#절차상 하자#무효

상담사례

부당징계, 회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부당징계라도 회사의 고의, 중대한 과실 또는 주의의무 위반이 없다면 회사 책임을 묻기 어렵다.

#부당징계#회사 책임#고의#중과실

상담사례

징계 취소 후 재징계, 이게 되는 거였어?! 😱

회사는 기존 징계를 취소하고 재징계할 수 있지만, 재징계도 정당한 절차와 합리적인 이유가 필요하다.

#징계 취소#재징계#정당한 절차#합리적 이유

형사판례

부당징계? 절차보다 내용이 중요해요!

회사가 직원을 징계할 때 정해진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형사처벌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징계 내용 자체가 부당하고, 사회 통념상 잘못이라고 판단될 경우에만 처벌 대상이 됩니다.

#징계절차 위반#형사처벌#징계 내용#정당한 이유

생활법률

징계, 해고 절차? 꼭 지켜야 할까요?

회사 내부 규정에 징계해고 절차가 있다면 해당 절차를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해고는 무효가 될 수 있지만, 규정이 없다면 절차 미준수 자체가 해고 무효 사유는 아니다. 다만, 절차상 하자는 재심 등을 통해 치유될 수 있다.

#징계해고#절차#무효#취업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