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

사건번호:

95다54884

선고일자:

199707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주택건설촉진법상의 전매제한기간 내에 국민주택을 전매한 경우, 사업주체에 대하여 전매를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판결요지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 12. 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 제1항 단서, 제3항, 구 주택건설촉진법시행령(1994. 7. 30. 대통령령 제1434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제2항에 의하면, 국민주택에 관하여는 분양한 때로부터 일정한 기간 동안 전매행위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전득자는 전매제한기간 내에는 사업주체에 대하여 당초의 수분양자와의 사이의 전매의 법률관계를 주장할 수 없으나, 전매제한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사업주체가 분양계약상의 계약의 해제나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8조의3 제3항 소정의 환수조치를 취하지 아니하는 한, 사업주체에 대하여 전매의 법률관계를 주장을 할 수 있다.

참조조문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 12. 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 구 주택건설촉진법시행령(1994. 7. 30. 대통령령 제1434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1. 9. 10. 선고 91다21992 판결(공1991, 2531), 대법원 1992. 2. 25. 선고 91다44544 판결(공1992, 1147), 대법원 1992. 7. 28. 선고 92다11329 판결(공1992, 2642), 대법원 1993. 1. 26. 선고 92다39112 판결(공1993상, 858), 대법원 1997. 6. 27. 선고 95다47343 판결(공1997하, 230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원고 【피고,상고인】 대한주택공사 【원심판결】 수원지법 1995. 11. 3. 선고 95나672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 12. 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8조의3 제1항 단서, 제3항, 구 동법시행령(1994. 7. 30. 대통령령 제14349호로 개정되기 전의 시행령) 제37조 제2항에 의하면, 국민주택에 관하여는 분양한 때로부터 일정한 기간 동안 전매행위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전득자는 전매제한기간 내에는 사업주체에 대하여 당초의 수분양자와의 사이의 전매의 법률관계를 주장할 수 없으나, 전매제한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사업주체가 분양계약상의 계약의 해제나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8조의3 제3항 소정의 환수조치를 취하지 아니하는 한, 사업주체에 대하여 위 전매의 법률관계를 주장을 할 수 있다 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7. 6. 27. 선고 95다47343 판결 참조). 그런데 원심이 확정한 바에 의하면, 이 사건 아파트는 군포시 산본동에 위치한 국민주택으로서 수도권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고, 구 주택건설촉진법 제38조의3 제1항, 구 동법시행령 제37조 제1항 단서, 건설부고시 1991. 8. 24. 제485호에 의하면, 그 전매제한기간은 당해 주택의 입주자로 당첨된 날로부터 사업주체가 입주예정자에게 통보한 당해 주택의 입주개시일 후 2년까지이고, 이 사건 입주개시일은 1994. 7. 25.부터 8. 24.까지이며 이 사건 전매행위가 이루어진 것은 1993. 3. 29.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건 전매행위는 위 전매제한기간 내에 이루어진 것이나, 그 후에 위 전매제한기간이 경과하였으니, 이 사건 아파트의 전매수인인 원고는 당초의 수분양자인 소외인과의 사이의 위 전매의 법률관계를 사업주체인 피고에게 주장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원심이 그 이유는 다르나 원고가 위 소외인과의 사이의 위 전매계약으로써 피고에게 대항할 수 없는 것이라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하고 위 소외인을 대위하여 이 사건 아파트의 소유권이전등기절차이행을 구하는 원고의 청구를 인용한 조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최종영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국민주택 전매, 불법일까요? 계약은 유효할까요?

국민주택을 전매금지기간 내에 전매하더라도 매수인이 분양자에게는 전매 사실을 주장할 수 없지만, 매도인과 매수인 사이의 전매계약 자체는 유효하다.

#국민주택#전매금지기간#전매계약#유효

민사판례

국민주택 전매제한, 알고 보면 복잡한 이야기

국민주택을 전매제한 기간 내에 팔았더라도 그 계약 자체는 유효하며, 전매제한 기간이 지나면 매수인은 사업주체(예: LH, SH 등)에게도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국민주택#전매제한#계약효력#소유권이전등기

민사판례

국민주택 전매, 계약은 유효할까?

법으로 금지된 국민주택 전매라도 원래 분양받은 사람과 전매받은 사람 사이의 계약은 유효하다.

#국민주택#불법 전매#계약 유효#당사자 간 유효

민사판례

국민주택 전매, 불법이지만 계약은 유효!

법으로 정해진 국민주택 전매 제한 기간 내에 또는 주택공사와의 전매 제한 약정에도 불구하고 집을 팔았더라도 그 매매계약 자체는 유효하다.

#국민주택#전매제한#매매계약#유효

민사판례

국민주택 전매와 중간생략등기 합의, 효력 있을까?

국민주택을 전매제한 기간 내에 전매하거나, 등기를 하지 않고 바로 최종 매수인에게 등기를 넘겨주기로 하는 중간생략등기합의를 하더라도, 그 합의 자체는 유효하다.

#국민주택#전매제한#전매계약#중간생략등기합의

형사판례

국민주택 전매 금지 기간, 정확히 언제까지일까요?

국민주택은 입주 예정일로부터 6개월간 전매나 전대가 금지되며, 이 기간 내의 거래만 처벌 대상입니다. 본 판례에서는 피고인이 임대받은 국민주택의 임차권을 양도한 사건에 대해, 입주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인지 확인하지 않고 유죄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고, 입주개시일 확인 후 판단하도록 환송했습니다.

#국민주택#전매/전대 금지#입주개시일#6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