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위반

사건번호:

95도1765

선고일자:

19960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의료법 제25조 제3항의 금지행위의 주체

판결요지

의료법 제25조 제3항은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개설자가 아닌 자의 환자 유인행위 등을 금지함은 물론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개설자의 환자 유인행위나 그 사주행위까지도 금지하는 취지임이 명백하고, 의료인의 환자 유인행위가 같은 법 제53조에 의하여 별도로 면허자격의 정지사유가 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행정목적의 달성을 위한 것으로서 위 벌칙조항과는 규정취지를 달리하므로, 의료인에 대한 형사처벌에 아무런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다.

참조조문

의료법 제25조 제3항 , 제53조 , 제6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정해원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5. 6. 30. 선고 94노36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에 대한 판시 의료법 위반의 범죄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의료법 제25조 제3항은 "누구든지 영리를 목적으로 환자를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에게 소개·알선 기타 유인하거나 또는 이를 사주하는 행위를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는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개설자가 아닌 자의 환자 유인행위 등을 금지함은 물론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개설자의 환자 유인행위나 그 사주행위까지도 금지하는 취지임이 명백하고, 의료인의 환자 유인행위가 같은 법 제53조에 의하여 별도로 면허자격의 정지사유가 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행정목적의 달성을 위한 것으로서 위 벌칙조항과는 규정취지를 달리하므로, 의료인에 대한 형사처벌에 아무런 장애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을 개설한 의료인인 피고인이 그 의료기관에 환자를 유인한 판시 행위가 위 법의 금지규정에 위반된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용득(재판장) 천경송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병원 직원의 환자 유치, 불법일까? 알선·유인의 의미를 살펴보자

병원 직원이 저렴한 건강검진을 홍보하며 예약금을 받은 행위가 환자 소개·알선·유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병원 스스로 환자를 유치하는 행위는 금품 제공이나 의료시장 질서 교란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환자유치#의료법위반#병원직원#건강검진

형사판례

병원의 환자 유인, 어디까지 처벌될까? - 환자 소개 대가 지급에 대한 법원의 판단

병원이 환자를 소개해준 사람에게 돈을 주는 것은 의료법 위반이며, 이런 행위가 관행이라거나 업계에 널리 퍼져있다는 이유로 정당화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돈 지급이 여러 번 이루어졌더라도 하나의 죄로 처벌될 수 있다.

#환자소개#알선#대가지급#의료법위반

형사판례

의사가 직원 시켜 불법 의료행위, 누가 책임질까?

의사가 직원에게 의료법 위반 행위를 시켰을 경우, 의사는 교사범으로 처벌받는다. 또한, 이 사건에서 공소장 변경을 허가하지 않은 것은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의사#교사범#의료법 위반#양벌규정

형사판례

의사 면허증 대여, 상대방이 의사라도 불법!

의사 면허증을 다른 의사에게 빌려주는 행위도 불법입니다. 면허증을 빌려준 의사가 그 병원에서 실제로 진료를 하지 않고 명의만 빌려준 경우에는 면허 대여로 간주됩니다.

#의사 면허증 대여#불법#의료법 위반#명의 대여

형사판례

노숙인 환자 유인과 퇴원 거부, 불법일까요?

노숙인들을 유인하여 입원시키고 퇴원 요청을 거부한 정신병원 원장에게 의료법 위반 및 감금죄로 유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영리 목적의 환자 유인은 경제적 이득을 얻는 사람과 유인 행위를 하는 사람이 일치하지 않아도 성립하며, 자의 입원 환자의 퇴원 요청을 거부하는 것은 불법 감금에 해당합니다.

#노숙인#환자 유인#퇴원 거부#의료법 위반

일반행정판례

병원 직원의 불법 환자 알선, 원장은 면허정지 될까?

의사가 고용한 직원이 의료법을 위반하여 의사가 양벌규정에 따라 처벌받았더라도, 그 사실만으로 의사의 면허를 정지시킬 수는 없다.

#의사#양벌규정#면허정지#직원 불법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