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처리 특례법 위반·업무상 과실 자동차 추락

사건번호:

95도2716

선고일자:

19960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항소이유서에 기재된 항소이유를 상고이유로 원용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 제1호 소정의 '안전표지'의 의의

판결요지

[1] 상고이유서에는 소송기록과 원심법원의 증거조사에 표현된 사실을 인용하여 그 이유를 명시하여야 하므로, 항소이유서에 기재된 항소이유를 그대로 원용하는 것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2] 도로의 바닥에 진입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삼각형 모양의 황색사선이 그어져 있다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 제1호 소정의 '안전표지'에 해당하고 노면상의 표시 이외에 따로 표지판이 세워져 있어야 비로소 위 법조항에서 말하는 '안전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379조 제2항 / [2]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제1호 , 도로교통법 제2조 제12호 , 제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1. 6. 29. 선고 71도909 판결(집19-2, 형45), 대법원 1983. 2. 22. 선고 82도2949 판결(공1983, 625), 대법원 1983. 9. 13. 선고 83도375 판결(공1983, 1527), 대법원 1986. 10. 14. 선고 86도1785 판결(공1986, 3076), 대법원 1987. 11. 10. 선고 87도1408 판결(공1988, 121)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오명균 【원심판결】 고등군법 1995. 10. 10. 선고 94노30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상고이유서에는 소송기록과 원심법원의 증거조사에 표현된 사실을 인용하여 그 이유를 명시하여야 하므로, 항소이유서에 기재된 항소이유를 그대로 원용하는 것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을 뿐 아니라( 당원 1971. 6. 29. 선고 71도909 판결, 1987. 11. 10. 선고 87도1408 판결, 1986. 10. 14. 선고 86도1785 판결 참조), 원심이 이 사건 교통사고가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단서 제1호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뒤, 피고인에 대하여 위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죄와 업무상과실자동차추락죄의 상상적 경합범으로 처단한 제1심을 그대로 유지한 조처는 옳고, 거기에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단서 제1호의 법리나 상상적 경합범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도 없다. 또 도로의 바닥에 진입금지를 내용으로 하는 삼각형 모양의 황색사선이 그어져 있다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 제1호 소정의 '안전표지'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도로교통법 제2조 제12호, 제5조 참조), 이 사건 교통사고가 위 법조항 단서 제1호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고, 위와 같은 노면상의 표시 이외에 따로 표지판이 세워져 있어야 비로소 위 법조항에서 말하는 '안전표지'에 해당한다는 논지는 독단적인 견해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사 현장에 임의로 설치된 황색 점선, 중앙선일까? 안전표지일까?

건설회사가 도로공사를 하면서 임의로 설치한 황색 점선은 법적인 효력이 있는 중앙선이나 안전표지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점선을 침범하여 발생한 사고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상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황색점선#중앙선#안전표지#법적효력

형사판례

횡단보도 옆 종형 신호등, 그 의미는? 🚦

횡단보도 옆에 있는 세로형(종형) 신호등은 보행자 신호등이 아니라, 차량 운전자를 위한 교차로 통행 신호등으로 봐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횡단보도#종형 신호등#교차로 통행 신호등#신호위반

형사판례

군 기지 내 흰색 실선, 도로교통법상 안전표지 아니다

군부대 내부 규정에 따라 설치된 안전표지가 도로교통법상 안전표지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군부대 내부 규정에 따른 표지라 하더라도 도로교통법상 설치 권한이 없는 자가 설치한 것은 도로교통법상의 안전표지로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군부대#안전표지#도로교통법#설치권한

형사판례

횡단보도 신호등, 교차로 통행에도 영향을 줄까요? 🚦

횡단보도 옆에 설치된 삼색등 신호기는 보행자뿐 아니라 차량의 교차로 통행도 규제한다. 비보호 좌회전 표시가 없다면 녹색 신호에서도 좌회전은 허용되지 않는다.

#횡단보도#삼색등#교차로 통행 신호#좌회전

형사판례

교차로 적색 신호에서 좌회전/유턴, 절대 안 됩니다!

비보호 좌회전이나 유턴 허용 표시가 없는 교차로에서 적색 신호에 좌회전이나 유턴을 하면 신호위반입니다. 좌회전 노면표시가 있다고 해서 적색 신호에 좌회전/유턴이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적색 신호#좌회전#유턴#신호위반

형사판례

황색 신호, 그냥 지나가도 될까요? 절대 안 됩니다!

교차로 진입 전 신호가 황색으로 바뀌면 정지선이나 횡단보도 유무와 관계없이 교차로 직전에 정지해야 합니다. 정지선이나 횡단보도가 없더라도 황색 신호를 보고 교차로에 진입하면 신호위반입니다.

#황색 신호#교차로 진입#신호위반#정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