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6누3319

선고일자:

1997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상속재산에 대한 매매가격을 상속 당시의 시가로 보기 위한 요건 및 입증방법 [2] 상속일로부터 1개월 22일 후에 체결된 매매계약상의 매매가격을 상속부동산의 상속 당시의 시가로 본 사례

판결요지

[1] 상속재산의 평가방법을 규정한 구 상속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소정의 '시가'라 함은 원칙적으로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속받은 토지에 대하여 상속개시일이 경과한 뒤에 매매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있어서 과세관청이 당해 토지에 대하여 상속개시일과 매매계약체결일 사이에 아무런 가격변동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하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매매가격을 상속 당시의 시가로 볼 수 있으며, 그 입증방법에 어떠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2] 산림보전지역 및 토지거래허가지역 내의 임야를 상속받아 그 상속일로부터 1개월 22일 후에 토지거래허가를 받음과 동시에 효력이 있다는 약정하에 농·수·축산물 냉장창고 부지용으로 매매한 경우, 그 임야는 국토이용관리법상 농·수·축산물 냉장창고 부지용으로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그 매매가격은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에 해당하고, 상속개시 당시와 매매계약일 사이에 그 토지의 지가가 하락한 것으로 입증되는 이상, 그 매매가격은 상속개시 당시의 시가로 볼 수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상속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제1항 참조), 구 상속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제1항 참조)/ [2] 구 상속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제1항 참조), 구 상속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 제60조 제1항 참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84. 7. 24. 선고 84누260 판결(공1984, 1500), 대법원 1990. 6. 26. 선고 89누6907 판결(공1990, 1608) /[1] 대법원 1988. 6. 28. 선고 88누582 판결(공1988, 1163), 대법원 1993. 5. 14. 선고 92누13240 판결(공1993하, 1746), 대법원 1995. 5. 26. 선고 94누15325 판결(공1995하, 229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동수원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 17. 선고 95구469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상고이유(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한도 내에서)를 본다. 상속재산의 평가방법을 규정한 구 상속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1항 소정의 '시가'라 함은 원칙적으로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을 의미하는 것이고 ( 대법원 1995. 5. 26. 선고 94누15325 판결 등 참조), 상속받은 토지에 대하여 상속개시일이 경과한 뒤에 매매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있어서 과세관청이 당해 토지에 대하여 상속개시일과 매매계약체결일 사이에 아무런 가격변동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하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매매가격을 상속 당시의 시가로 볼 수 있으며, 그 입증방법에 어떠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0. 6. 26. 선고 89누6907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거시 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1992. 6. 1. 구 국토이용관리법(1993. 8. 5. 법률 제45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의 산림보전지역,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고시된 임야인 판시 토지를 상속받은 후 같은 해 7. 22. 소외 강동냉장 주식회사에게 그 중 9,672㎡를 토지거래허가를 받음과 동시에 효력이 있다는 약정하에 농·수·축산물 냉장창고 부지용으로 매도한 사실 및 위 상속개시 당시와 위 매매계약일 사이에 판시 토지가 속하는 경기 용인군 임야의 지가가 하락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산림보전지역 내의 토지인 판시 토지는 국토이용관리법 제15조 제4항, 같은법시행령(1993. 12. 28. 대통령령 제1403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1항 제21호에 따라 농·수·축산물 냉장창고 부지용으로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소외 회사가 위와 같은 목적으로 판시 토지 중 일부를 매수하면서 정한 매매가격은 정상적인 거래에 의하여 형성된 객관적 교환가격에 해당하고 , 매매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토지거래허가를 받음과 동시에 계약이 효력을 갖는다고 약정한 것은 토지거래허가지역 내의 토지매매의 효력에 따른 것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위와 같은 약정이 있다고 하여 그 매매계약에서 정하여진 매매가격을 객관적 교환가격이 아니라고 할 수 없는 데다가 상속개시 당시와 그 때로부터 1개월 22일 후인 위 매매계약일 사이에 판시 토지의 지가가 하락한 것으로 입증되는 이상, 그 매매가격은 판시 토지 중 매도 부분의 상속개시 당시의 시가로 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상속재산가액 평가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최종영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재산 평가, 시가가 뭔가요?

돌아가신 분의 재산을 상속받을 때, 실제로 낮은 가격에 팔렸더라도 그 가격이 정상적인 거래 가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세금 계산은 시가(실제 시장 가치)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이때, 왜 시가를 적용해야 하는지 증명할 책임은 세무서에 있다.

#상속세#시가#실거래가#저가거래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는 어떻게 정해질까?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받은 부동산의 가치는 '시가'를 기준으로 합니다. '시가'는 실제 거래 가격이 우선이지만, 거래 가격이 없다면 감정가격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감정가격이라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평가된 적정한 가격이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감정가격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개별공시지가를 사용했습니다.

#상속세#부동산#시가#감정가격

세무판례

상속받은 부동산, 6개월 후 팔았는데… 상속 당시 가격으로 세금 내야 할까요?

상속받은 땅을 6개월 뒤에 팔았는데, 그 판매 가격을 상속 당시의 땅값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상속일과 판매일 사이에 땅값 변동이 없었다는 점이 입증되면 가능합니다.

#상속세#땅값#시가#판매가격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가 핵심! 하지만 시가 확인이 어려울 땐?

상속받은 땅값을 계산할 때, 실제 거래가 있었더라도 그 가격이 정상적인 거래가 아니라면, 정부가 정한 기준으로 세금을 매길 수 있다.

#상속세#토지#시가#개별공시지가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시가를 먼저 따져봐야죠!

상속재산의 시가를 알 수 없어 보충적인 계산법을 사용했다면, 왜 시가를 알 수 없었는지를 과세관청이 입증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거래 내역이 없다는 사실만으로는 시가를 알 수 없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상속세#시가#보충적 평가방법#입증책임

세무판례

상속받은 부동산, 몇 달 뒤 팔았다면 그 가격이 상속 당시 시가일까?

상속받은 부동산을 상속 시점으로부터 몇 개월 뒤에 팔았을 때, 그 매매 가격을 상속 당시 시가로 인정받으려면, 그 가격이 일반적인 거래에서 형성되는 정상적인 가격을 반영해야 하고, 상속 시점과 매매 시점 사이에 가격 변동이 없어야 한다.

#상속부동산#시가#매매가격#정상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