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보도

사건번호:

96다40998

선고일자:

19980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 제16조의 정정보도청구권의 내용

판결요지

구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1995. 12. 30. 법률 제514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의 정정보도청구권은 그 용어 표현과는 달리 피해자가 정기간행물의 사실적 주장(원문보도)에 대하여 주장하는 반박 내용을 게재해 줄 것을 요구하는 권리에 불과하고, 원문보도를 진실에 부합되게 시정, 보도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권리는 아니라고 보아야 하며, 따라서 정정보도청구권은 원문보도의 내용이 허위임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참조조문

구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1995. 12. 30. 법률 제514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 1. 28. 선고 85다카1973 판결(공1986, 417), 대법원 1991. 1. 15. 선고 90다카25468 판결(공1991, 744)

판례내용

【신청인,피상고인】 방송위원회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신화 담당변호사 조영황) 【피신청인,상고인】 사단법인 한국광고주협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연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8. 13. 선고 95나38815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신청인 발행의 월간지에 게재된 이 사건 기사 중 판시 부분은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서 신청인은 위 정기간행물에 공표된 사실적 주장에 의하여 피해를 받은 자에 해당하므로 피신청인은 정정보도문을 게재하여 줄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다음, 구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1995. 12. 30. 법률 제514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상의 정정보도청구권은 법문의 제명에서 정정보도청구권이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또한 피해자가 청구한 '정정보도'의 내용이 명백히 사실에 반하는 경우에는 정정보도를 거부할 수 있다고 규정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만일 법원에 현출된 증거에 의하여 원 보도 내용이 사실에 반한다고 밝혀진 경우에는 법원으로서는 필요한 경우 단순히 반론에 그치지 아니하고 정정을 명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유로 단순한 반론문의 게재만이 허용된다는 피신청인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구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 제16조의 정정보도청구권은 그 용어 표현과는 달리 피해자가 정기간행물의 사실적 주장(이하 원문보도라 한다)에 대하여 주장하는 반박 내용을 게재해 줄 것을 요구하는 권리에 불과하고, 원문보도를 진실에 부합되게 시정, 보도하여 줄 것을 요구하는 권리는 아니라고 보아야 하며, 따라서 정정보도청구권은 원문보도의 내용이 허위임을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대법원 1986. 1. 28. 선고 85다카1973 판결, 1991. 1. 15. 선고 90다카25468 판결 등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사의 정정을 구하는 정정보도청구도 가능하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정정보도청구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하지 아니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 이임수 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거짓 반론보도 청구, 안 됩니다!

언론 보도로 피해를 입은 사람은 반론보도를 청구할 수 있지만, 반론 내용이 허위임을 알면서 청구하는 것은 권리 남용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반론보도#허위#권리남용#허위성 인식 입증 책임

민사판례

신문 기사에 대한 정정보도, 진실이 아니어도 청구할 수 있을까?

신문 기사에 대해 반박하고 싶다면, 기사 내용이 사실이더라도 정정보도를 청구할 수 있다. 단, 반박 내용이 명백히 거짓이어서는 안 된다.

#신문 정정보도#진실 여부 무관#반박 가능#정당한 이익

민사판례

방송 정정보도, 내 권리는 어디까지?

이 판례는 방송에서 잘못된 내용이 보도되어 피해를 입은 사람이 정정보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정정보도청구권)의 범위와 효력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누가 정정보도를 청구할 수 있는지, 정정보도의 내용과 방송 시기는 어떻게 정해야 하는지 등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방송#정정보도청구권#정정보도#피해

민사판례

인터넷 게시판 글을 바탕으로 쓴 기고, 명예훼손일까?

인터넷 게시판 정보에만 의존하여 사실 확인 없이 공직자를 비난하는 기고문을 잡지에 게재한 경우, 명예훼손에 해당하며, 법원은 정정보도 내용, 위치, 방식 등을 정할 권한이 있다는 판결.

#명예훼손#정정보도#인터넷 게시판#기고문

민사판례

내 인터뷰, 왜곡 보도됐다면? 반론보도청구권!

언론사가 인터뷰 내용을 왜곡하거나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인터뷰 대상자의 의견이 잘못 전달된 경우, 인터뷰 대상자는 반론보도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인터뷰가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반론보도청구가 제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뷰#왜곡#반론보도청구#언론중재법

민사판례

반론보도, 언제 막을 수 있을까? 집행정지에 대한 대법원 판단

언론사에 대한 반론보도 판결의 효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집행정지'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허용된다. 새로운 증거 등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반론보도는 예정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반론보도#집행정지#엄격한 기준#언론의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