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6다8468
선고일자:
1996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채무 내용에 따른 본래의 급부의 이행을 구하는 경우, 과실상계의 가부(소극)
과실상계는 본래 채무불이행 내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인정되는 것이고, 채무 내용에 따른 본래의 급부의 이행을 구하는 경우에 적용될 것이 아니다.
민법 제396조
대법원 1987. 3. 24. 선고 84다카1324 판결(공1987, 701), 대법원 1996. 2. 23. 선고 95다49141 판결(공1996상, 1066)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1996. 1. 19. 선고 94나419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 기록을 검토하여 보면, 원심이 거시 증거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임차인이 원고라고 판단하고, 이어 소외 1이 판시 건물에 대한 실질적 임차인이고, 위 임대차계약 당시 원·피고와 위 소외 1 사이에 임대차 종료시 전세보증금은 위 소외 1에게 반환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피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소론이 들고 있는 당원의 판례는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는 것으로, 이 사건에서 원용할 것이 아니다. 그리고, 과실상계는 본래 채무불이행 내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인정되는 것이고, 이 사건과 같이 채무 내용에 따른 본래의 급부의 이행을 구하는 경우에 적용될 것이 아니므로( 당원 1987. 3. 24. 선고 84다카1324 판결 참조), 원심이 이 사건에서 과실상계를 하지 아니한 것에 어떠한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상담사례
세입자의 빚 때문에 전세금 반환이 어려운 경우, 채권자가 전세권에 대한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면 집주인은 다른 빚과 상관없이 채권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줘야 하지만, 세입자가 집에 손상을 입힌 경우 발생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해서는 상계가 가능하다.
민사판례
세입자가 집세 등을 내지 않았을 경우, 집주인은 별도의 동의 없이 보증금에서 미납금을 빼낼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임차인이 임대인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임차물을 전대했더라도, 임대차 계약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임대인이 제3자에게 손해배상이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상담사례
직원의 고의적인 횡령에 대해서는 회사의 관리 소홀을 이유로 손해배상 책임을 줄여주는 과실상계가 어렵지만, 단순 실수인 경우에는 과실상계가 적용될 수 있다.
민사판례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을 보증한 후, 집주인과 세입자가 보증과 상관없는 다른 빚 때문에 보증금에서 돈을 빼기로 합의하더라도, 보증인에게는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담사례
고의적인 불법행위는 상계가 불가능하지만, 중대한 과실로 인한 불법행위는 상계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