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관리법위반

사건번호:

96도2450

선고일자:

1996120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마초의 종자를 매매하는 행위가 대마관리법 제4조 제3호 소정의 대마매매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대마초의 종자를 매매하는 행위는 그 종자에 껍질이 붙어 있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대마관리법 제4조 제3호의 대마매매 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대마관리법 제4조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8. 29. 선고 96노99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들이 공소사실 기재와 같이 껍질이 붙어 있는 대마초의 종자를 매매한 사실은 인정되나 대마초의 종자를 매매하는 행위는 그 종자에 껍질이 붙어 있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대마관리법 제4조 제3호의 대마매매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으므로 피고인들에 대한 이 사건 대마종자매매에 관한 공소사실은 피고 사건이 범죄로 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한 제1심의 조처를 옳다고 하여 유지하고 있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을 기록과 관계 법규정에 비추어 검토하여 보면 이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대마관리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준서 김형선(주심) 이용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마초 씨앗, 껍질째 먹으면 불법일까?

대마초 씨앗이라도 껍질을 벗기지 않고 먹으면 대마관리법 위반입니다.

#대마초 씨앗 껍질#섭취 불법#대마관리법 위반#유죄

형사판례

대마초, 어디까지 처벌될까요?

대마초의 잎, 꽃, 수지 등 THC(테트라히드로카나비놀) 성분이 포함된 부분의 흡연을 처벌하는 법률은 위헌이 아니다.

#대마#흡연#처벌#합헌

형사판례

씨앗, 소분해서 팔면 종자업일까? - 인터넷 씨앗 판매에 대한 법원의 판단

인터넷에서 대량 포장된 종자를 소량으로 나눠 다시 포장해 판매하는 행위는, 포장 방식이 규격화되지 않았고 주문량에 따라 달라지더라도 종자산업법상 '종자업'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자업 등록 없이 이러한 판매를 하면 불법이다.

#인터넷 종자 소분 판매#종자업#종자업 등록#불법

형사판례

견본용 마약 소지도 마약 매매 알선 목적 소지죄에 해당할까?

마약 판매를 알선하기 위해 견본으로 소지한 마약도 마약법 위반(매매알선 목적 소지)으로 처벌된다.

#마약#견본#매매알선#소지죄

형사판례

약재 판매, 의약품 판매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 한약재 판매와 약사법 위반

단순히 세척, 건조, 절단한 한약재를 판매한 행위는 약사법 위반이 아니다. 의약품으로 인정되려면, 약효가 있다는 표시를 하거나 의약품처럼 포장하는 등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

#한약재#약사법 위반#의약품 판매#약효 표시

형사판례

가짜 마약인 줄 알고 팔았는데… 처벌받을까?

마약이 아닌 물질을 마약으로 착각하고 거래하거나 소지한 경우, 관련 법이 개정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류 오인#거래#소지#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