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특)

사건번호:

96후2364

선고일자:

199804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발명이 인용발명과 기술적 구성이 상이하고 작용효과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어 진보성이 있음에도 이를 부인한 원심심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출원발명이 인용발명과 기술적 구성이 상이하고 작용효과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어 진보성이 있음에도 이를 부인한 원심심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특허법 제29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1. 10. 22. 선고 91후141 판결(공1991, 2833), 대법원 1997. 5. 23. 선고 96후1064 판결(공1997하, 1871), 대법원 1997. 10. 24. 선고 96후1798 판결(공1997하, 3647),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6후1972 판결(공1998상, 103)

판례내용

【출원인,상고인】 제너럴일렉트릭 캄파니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중앙국제법률특허사무소 담당변호사 이병호 외 3인) 【상대방,피상고인】 특허청장 【원심심결】 특허청 1996. 10. 31.자 94항원1248 심결 【주문】 원심심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청 특허심판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심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1991. 7. 8.에 출원된 이 사건 출원발명(이하 본원발명이라 한다)은 '머신(machine)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쪽 단부(端部)에서 유체를 수용하여 다른 쪽 단부에서 유체를 배출하는 중공축(中空軸)과, 상기 중공축상에 설치되는 적층판(積層板)과, 상기 적층판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적층판을 에워싸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액체 냉각식 다이나모 일렉트릭(dynamo electric) 머신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에 설치되며, 측벽들 및 상기 중공축과 유체 소통하는 내부 챔버(chamber)를 가지며, 한 쪽 측벽이 상기 적층판의 축 방향 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축 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중공축이 회전할 때 내부의 유체에 원심가속력을 부과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중공(中空) 디스크(dis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냉각식 다이나모 일렉트릭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1973. 7. 11. 공개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48-53506호에 기재된 "액체봉입회전전기(液體封入回轉電機)"에 관한 발명(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과 대비하면, 본원발명의 전제부에 있는 중공축, 적층판, 고정자의 구성요소들은 인용발명의 중공축, 회전자철심, 고정자철심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본원발명의 특징부에 있는 중공 디스크는 인용발명의 브래킷에 해당하고 중공 디스크 내에 있는 "유체에 원심가속력을 부과하는 수단"은 인용발명의 임펠러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본원발명은 인용발명과 그 기술적 구성이 유사하고 그 효과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용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다는 이유로 특허법 제29조(원심심결의 제6조는 제29조의 오기임) 제2항에 의하여 특허받을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요지가 그 전제부 아닌 특징부에 있는 이상, 본원발명의 전제부의 구성요소가 인용발명의 그것과 동일하다 하여 본원발명의 진보성을 부정할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기록에 의하면, 본원발명의 특징부인 "유체에 원심가속력을 부과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중공 디스크"는 현저하게 상승된 냉각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유체에 넓은 열 전달 면적과 빠른 속도를 주기 위하여 적층판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의 유체 자체에 원심가속력을 부과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대하여, 인용발명에 있어서 임펠러는 단순히 중공축을 통과한 후 구멍으로 배출되는 유체에 보다 큰 원심력을 주기 위하여 구멍의 길이를 연장하여 주고 브래킷은 프레임과 함께 중공축을 지지하는 케이스로서의 역할만 할 뿐임을 알 수 있으므로, 본원발명의 중공 디스크가 인용발명의 임펠러, 브래킷과 그 기술적 구성이 유사하다거나 작용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출원인은 본원발명의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서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본원발명이 중공축만 있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상승된 작용효과를 달성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본원발명이 인용발명과 그 기술적 구성이 유사하고 작용효과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용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다고 판단한 원심심결에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효과에 관하여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이유를 갖추지 못한 위법이 있다 할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심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에 상당한 특허청 특허심판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정귀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종이 양면 건조 기술, 혁신은 진보성을 갖는다!

새로운 종이 양면 건조 기술이 기존 기술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 특허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은 사례입니다. 특허청은 처음에 새로운 기술이 기존 기술에서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이라며 특허를 거부했지만, 대법원은 새로운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하여 특허청의 결정을 뒤집었습니다.

#종이 양면 건조#특허#진보성#기존 기술

특허판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장치, 특허 분쟁에서 진보성 인정 못 받아

판독과 기록 시 디스크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술은 기존 기술에서 쉽게 예측 가능하므로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진보성#가변 속도 디스크 드라이브#특허#전력 소모

특허판례

디지털 온도 조절기 특허, 진보성 없어 무효!

기존 기술들을 조합하면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에는 특허를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결입니다. 특허심판원이 디지털 온도 조절기 특허에 대해 진보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을 특허법원이 뒤집었는데, 대법원이 다시 특허심판원의 손을 들어준 사례입니다.

#디지털 온도 조절기#특허#진보성#무효

특허판례

전기발광 인광체 입자 발명, 특허받을 수 있을까? - 발명의 진보성 판단 기준

특허를 받으려는 발명이 기존 발명과 비교하여 새롭고 진보적인지 판단할 때, 발명의 특징(성질, 특성)을 나타내는 내용도 발명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아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물건의 구조만 비교할 것이 아니라, 그 특징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신규성#진보성#특허#발명

특허판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멤브레인 절단장치 특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사용되는 액세서리 관련 특허가 기존 기술들을 조합하면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이라 특허로서의 효력(진보성)이 없다고 판결.

#액화천연가스#저장탱크#액세서리#특허

특허판례

표시장치 기판 제조 장비 특허, 진보성 인정 못 받아

기존 기술을 조합하여 쉽게 만들 수 있는 발명은 새로운 특허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표시장치용 기판 제조 장비에 관한 특허의 일부가 기존 기술들을 조합한 것에 불과하여 특허로서의 진보성이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진보성#특허#기판 제조 장비#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