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위반

사건번호:

97도1490

선고일자:

199709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단순한 사업부진이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 위반죄에 대한 면책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2] 임금을 지급받지 못한 근로자가 수인인 경우,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 위반죄의 죄수

판결요지

[1]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에서 규정하는 퇴직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는 사용자가 퇴직금 등의 지급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으나 경영부진으로 인한 자금사정 등으로 지급기일 내에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었던 불가피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면책되는 것이고, 단순히 사용자가 경영부진 등으로 자금압박을 받아 이를 지급할 수 없었다는 것만으로는 그 책임을 면할 수 없다. [2]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 위반의 범죄는 근로자에 대하여 일정기일까지 임금을 지급받게 하기 위한 취지이므로, 근로자가 수인일 경우 그 범의가 단일한 것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울 때에는 지급을 받을 수 없었던 근로자 각자마다에 대하여 같은 법조 위반의 범의가 있다고 인정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1] 근로기준법 제30조 , 제109조 / [2] 근로기준법 제30조 , 제109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4. 4. 10. 선고 83도1850 판결(공1984, 861), 대법원 1987. 5. 26. 선고 87도604 판결(공1987, 1112) / [2] 대법원 1995. 4. 14. 선고 94도1724 판결(공1995상, 1913)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7. 5. 9. 선고 97노148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에서 규정하는 퇴직금 등의 기일 내 지급의무 위반죄는 사용자가 퇴직금 등의 지급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으나 경영부진으로 인한 자금사정 등으로 지급기일 내에 퇴직금을 지급할 수 없었던 불가피한 사정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면책되는 것이고, 단순히 사용자가 경영부진 등으로 자금압박을 받아 이를 지급할 수 없었다는 것만으로는 그 책임을 면할 수 없는 것 인바( 대법원 1984. 4. 10. 선고 83도1850 판결, 1987. 5. 26. 선고 87도604 판결 등 참조), 이 사건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이 퇴직금 등의 지급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것으로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을 유죄로 판단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책임조각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으며, 상고이유에서 드는 대법원의 판례는 이 사건과 사안이 다른 것이어서 이 사건에 적용이 없다. 근로기준법 제109조, 제30조 위반의 범죄는 근로자에 대하여 일정기일까지 임금을 지급받게 하기 위한 취지이므로, 근로자가 수인일 경우 그 범의가 단일한 것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울 때에는 지급을 받을 수 없었던 근로자 각자마다에 대하여 같은 법조 위반의 범의가 있다고 인정하여야 할 것인바 ( 대법원 1995. 4. 14. 선고 94도1724 판결 참조), 이 사건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1996. 2. 14. 수원지방법원 여주지원에서 근로기준법위반죄로 벌금 1,500,000원의 약식명령을 받아 그 명령이 같은 달 22. 확정된 사실은 인정되나, 약식명령의 확정 이전에 범한 이 사건 범행과의 사이에 그 범의의 단일성을 인정할만한 증거가 없으므로, 확정된 약식명령의 기판력이 이 사건 공소사실에 미침을 들어 면소되어야 한다는 상고이유의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종영(재판장) 정귀호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퇴직금 미지급, 한 명씩 따져봐야 할까요?

회사 대표이사는 자신이 재직 중 퇴직한 근로자에 대해서만 퇴직금 미지급 책임을 지며, 여러 근로자의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각 근로자별로 죄가 성립한다.

#퇴직금 미지급#대표이사 책임#재직기간#근로자별 죄 성립

형사판례

퇴직금 미지급, 무조건 사업주 잘못일까? - 다툼의 여지가 있다면?

퇴직금 지급 의무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았더라도, 그 사정만으로는 고의적인 체불로 보기 어렵다는 판결.

#퇴직금#미지급#고의성#체불

형사판례

퇴직금 체불, 회사 사정 어려우면 무죄?

회사가 심각한 경영난으로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가 퇴직금 지급을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지급이 어려웠다면 형사 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퇴직금 체불#경영악화#형사처벌#무죄

형사판례

퇴직금 체불, 회사 사정 어려우면 책임 없을까? - 대법원 판결 해설

회사가 정리절차에 들어간 경우, 퇴직금 지급 의무 발생 시점과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한 데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여, 회사 대표이사와 정리절차 관리인의 형사 책임 범위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퇴직금을 지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체불#정리절차#대표이사 책임#관리인 책임

형사판례

사장님, 힘들다고 직원 월급 안 주면 안 돼요!

회사가 어려워져 임금을 체불했더라도, 회사가 최선을 다해 해결하려고 노력했는지, 직원들과 해결책을 논의했는지 등이 고려되어야 처벌을 면할 수 있다. 단순히 경영 악화만 주장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임금체불#경영악화#처벌#노력

형사판례

폐업 직전 회사, 사장님도 월급 못 줘서 감옥 가나요? 😥

회사가 아무리 어려워도 직원들 임금은 줘야 하지만, 정말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면 처벌받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임금 체불#불가피한 사정#최선의 노력#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