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상)

사건번호:

97후457

선고일자:

19980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지정상품이 훈증 및 살균소독용 가스인 상표 "OXYFUME"이 기술적 상표이며, 수요자 기만상표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출원상표 "OXYFUME"은 "산소를 함유하는" 또는 "예리한, 뾰쪽한" 등의 뜻을 가진 영문자 "OXY"와 "증기, 가스, 향기" 등의 뜻을 가진 영문자 "FUME"과의 결합상표로서 그 지정상품인 훈증 및 살균소독용 가스의 거래자 및 일반 수요자들의 영어 이해수준을 감안할 때 전체적으로 보아 "산소를 함유하는 증기 또는 가스"로 직감할 수 있으므로 그 지정상품의 품질을 직접적이고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표장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성분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 지정상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러한 품질을 가진 상품인 것으로 품질을 오인·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 제7조 제1항 제1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2. 9. 14. 선고 92후513 판결(공1992, 2890), 대법원 1994. 3. 11. 선고 93후527 판결(공1994상, 1193), 대법원 1995. 3. 14. 선고 94후1701 판결(공1995상, 1617), 대법원 1996. 7. 12. 선고 95후1937 판결(공1996하, 2504)

판례내용

【출원인,상고인】 프렉세어 테크날러지 인코퍼레이티드 (소송대리인 변리사 김진억 외 3인) 【상대방,피상고인】 특허청장 【원심심결】 특허청 항고심판소 1997. 1. 30.자 95항원2860 심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출원인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원심심결 이유를 기록과 관련법규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출원상표 "OXYFUME"은 "산소를 함유하는" 또는 "예리한, 뾰쪽한" 등의 뜻을 가진 영문자 "OXY"와 "증기, 가스, 향기" 등의 뜻을 가진 영문자 "FUME"과의 결합상표로서 그 지정상품인 훈증 및 살균소독용 가스의 거래자 및 일반 수요자들의 영어 이해수준을 감안할 때 전체적으로 보아 "산소를 함유하는 증기 또는 가스"로 직감할 수 있으므로 이 사건 출원상표는 그 지정상품의 품질을 직접적이고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성분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 지정상품에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그러한 품질을 가진 상품인 것으로 품질을 오인·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3호 및 제7조 제1항 제11호의 규정에 의하여 이 사건 출원상표의 등록을 거절한 것이 정당하다고 판단한 것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표법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판례들은 이 사건과는 사안을 달리하는 것이어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아니하다.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출원인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정귀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HIGHER VACUUM" 상표 등록 거절, 왜 그럴까요?

'더 높은 진공 산업 주식회사'라는 뜻의 영어 상표는 진공 관련 상품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진공과 무관한 상품에 사용될 경우 품질 오인의 우려가 있어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상표등록거절#진공#보통명칭#품질오인

특허판례

향기로운 비누 이름, 독점 사용할 수 있을까? - 상표 등록 무효 사례

'향스민'이라는 상표는 비누, 샴푸 등의 상품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향기가 스며있다'는 의미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므로, 특정 회사가 독점할 수 없어 상표 등록이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향스민#상표등록무효#기술적표장#품질표시

특허판례

불타지 않는 페인트? 상표 등록은 어려울 수도!

화재방지·예방 효과가 있는 수성도료, 페인트 판매대행 서비스에 대한 상표(" ")가 제품의 효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어서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수성도료#페인트#판매대행#서비스표

특허판례

내 상표, 괜찮을까? 수요자 기만 상표 등록 무효심판 이야기

이 판례는 타인의 서비스표와 유사한 서비스표를 등록한 경우, 기존 서비스표 사용자가 등록 무효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자격(이해관계인)과 유사성 판단 기준, 그리고 실제 사례를 보여줍니다. 특히, 등록된 서비스표가 소비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서비스표#등록무효#이해관계인#수요자 기만

특허판례

SONY, 향수 상표 출원? 문제없어!

소니가 자회사의 상호("SONY CREATIVE PRODUCTS INC.")를 상표로 등록하려 했으나, 특허청은 "SONY" 부분이 소니의 기존 전자제품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자회사 상호 사용이 소비자 혼란이나 선량한 풍속 저해를 야기한다고 볼 수 없다며 특허청의 결정을 뒤집었습니다.

#자회사 상호#상표 등록#소니#소비자 혼란

특허판례

향수 이름에 '당근(CARROT)'? 안 돼요!

'당근'을 뜻하는 "CARROT"은 향수, 방향제 등의 상품에 상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당근 성분이 들어있다고 오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ARROT#상표#향수#방향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