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8다22048

선고일자:

199809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불법행위로 인하여 건물이 훼손된 경우, 손해액 산정 방법 [2] 본안의 상고가 이유 없는 때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이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불법행위로 인하여 건물이 훼손된 경우, 수리가 가능하면 그 수리비가 통상의 손해이며, 훼손 당시 그 건물이 이미 내용연수가 다 된 낡은 건물이어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데 소요되는 수리비가 건물의 교환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평의 원칙상 그 손해액은 그 건물의 교환가치 범위 내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고, 또한 수리로 인하여 훼손 전보다 건물의 교환가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 수리비에서 교환가치 증가분을 공제한 금액이 그 손해이다. [2]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은 본안의 재판에 대한 상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이고, 본안의 상고가 이유 없는 때에는 허용될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393조, 제763조/ [2] 민사소송법 제361조, 제395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6. 1. 23. 선고 95다38233 판결(공1996상, 663) /[1] 대법원 1987. 11. 24. 선고 87다카1926 판결(공1988, 167), 대법원 1994. 10. 14. 선고 94다3964 판결(공1994하, 2970), 대법원 1995. 7. 28. 선고 94다19129 판결(공1995하, 2962), 대법원 1995. 9. 29. 선고 94다13008 판결(공1995하, 3585) /[2] 대법원 1981. 7. 7. 선고 80다2185 판결(공1981, 14153), 대법원 1991. 12. 30.자 91마726 결정(공1992, 1260), 대법원 1995. 3. 10. 선고 94후1091 판결(공1995상, 1615)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8. 4. 16. 선고 97나241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하여 건물이 훼손된 경우, 수리가 가능하면 그 수리비가 통상의 손해이며, 훼손 당시 그 건물이 이미 내용연수가 다 된 낡은 건물이어서 원상으로 회복시키는 데 소요되는 수리비가 건물의 교환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형평의 원칙상 그 손해액은 그 건물의 교환가치 범위 내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고(대법원 1987. 11. 24. 선고 87다카1926 판결 참조), 또한 수리로 인하여 훼손 전보다 건물의 교환가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 수리비에서 교환가치 증가분을 공제한 금액이 그 손해라 할 것이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인정한 수리비는 피고 소유 건물의 철거시 안전조치 미흡으로 인하여 직접 발생한 원고 소유 건물의 전면 벽 또는 기둥 그리고 지붕의 훼손 부분에 대하여 산정된 것임을 인정할 수 있고, 한편, 이 사건에서는 위 수리비가 원고 소유 건물의 교환가치를 초과한다거나 수리로 인하여 위 건물의 교환가치가 증가한다고 볼 만한 사정이 없으므로 위 수리비를 피고가 배상할 재산상 손해로 인정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건물 훼손으로 인한 수리비 인정에 있어서의 형평원칙을 위배하였거나 심리미진, 채증법칙 위배에 의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은 본안의 재판에 대한 상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되는 것이고, 본안의 상고가 이유 없는 때에는 허용될 수 없으므로(대법원 1995. 3. 10. 선고 94후1091 판결, 1996. 1. 23. 선고 95다38233 판결 참조), 본안에 대한 상고논지가 이유 없는 이상 원심판결의 소송비용의 재판에 위법이 있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이돈희 서성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낡은 우리 집, 공사 때문에 금이 갔어요! 수리비가 집값보다 더 나온다면? 😥

이웃 공사로 낡은 집에 금이 가 수리비가 집값을 초과할 경우, 집의 현재 시세(교환가치) 기준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고, 응급조치 비용은 별도 청구, 수리 후에도 문제 발생 시 추가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하다.

#이웃공사#균열#수리비#집값

민사판례

건물 훼손 손해배상, 제대로 알고 받자!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액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수리 가능 여부, 수리비와 건물 가치의 관계, 응급조치 비용, 그리고 건물 부지의 도시계획 저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손해배상액을 정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건물가치

민사판례

건물 훼손 손해배상, 어떻게 계산할까요?

누군가의 불법행위로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은 돈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며, 수리비는 사고 당시(불법행위 시점)의 건설 물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사고 이후 물가가 올라 수리비가 더 많이 나오더라도, 가해자가 그 물가 상승을 예측할 수 있었던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추가 배상 책임은 없습니다.

#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불법행위시점

민사판례

낡은 물건, 파손되면 보상은 얼마까지?

남의 잘못으로 오래된 물건이 파손되어 수리할 수 없을 경우, 새것으로 바꾸는 비용 전액을 배상받는 것이 아니라, 물건의 사용 기간을 고려하여 감가상각을 적용한 금액을 배상받아야 합니다.

#손해배상#감가상각#낡은 물건#파손

민사판례

옆집 공사 때문에 우리 집 벽에 금이 갔어요! 손해배상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굴착 공사로 인한 건물 균열 발생 시, 손해배상은 수리비만 해당하며, 수리 후 건물 가치 하락분은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어야 배상받을 수 있다. 또한, 재산 피해에 따른 정신적 고통은 일반적으로 재산적 손해배상으로 충당되지만, 그 이상의 심각한 정신적 고통은 별도로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다.

#건물균열#손해배상#수리비#가치하락

민사판례

건물 훼손에 따른 손해배상과 위자료, 어떻게 계산될까?

누군가의 불법행위로 건물이 훼손되었을 때, 손해배상은 수리 가능하면 수리비, 수리 불가능하면 건물의 시가로 계산합니다. 정신적 고통에 대한 위자료는 재산적 손해 배상만으로 회복되지 않는 특별한 경우, 가해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만 인정됩니다.

#불법행위#건물훼손#손해배상#수리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