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행사

사건번호:

99도4819

선고일자:

2000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사실증명에 관한 사문서에는 법률상 또는 사회생활상의 사실의 증명에 관한 문서가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및 채권계약서의 입회인으로 타인의 명의를 함부로 써서 작성한 문서가 사문서인지 여부(적극) [2] 작성명의자의 인장이 찍히지 아니한 경우, 사문서위조죄에 있어서의 사문서에 해당하는지 여부(한정 적극)

판결요지

[1] 사실증명에 관한 사문서에는 법률상 또는 사회생활상의 사실의 증명에 관한 문서가 포함된다고 할 것이므로 채권계약서의 입회인으로 타인의 명의를 함부로 써서 작성한 문서는 사문서에 해당한다. [2] 사문서의 작성명의자의 인장이 찍히지 아니하였더라도 그 사람의 상호와 성명이 기재되어 그 명의자의 문서로 믿을 만한 형식과 외관을 갖춘 경우에는 사문서위조죄에 있어서의 사문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참조조문

[1] 형법 제231조/ [2] 형법 제231조

참조판례

[2] 대법원 1989. 8. 8. 선고 88도2209 판결(공1989, 1387)

판례내용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법무법인 광명 담당변호사 이기문 외 1인 【원심판결】 인천지법 1999. 10. 7. 선고 99노202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니, 피고인에 대한 판시의 각 범죄사실을 유죄로 본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서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사유를 찾아볼 수 없다. 사실증명에 관한 사문서에는 법률상 또는 사회생활상의 사실의 증명에 관한 문서가 포함된다고 할 것이므로 채권계약서의 입회인으로 타인의 명의를 함부로 써서 작성한 이 사건에서 그 문서를 사문서로 본 원심의 판단은 수긍된다. 그리고 사문서의 작성명의자의 인장이 찍히지 아니하였더라도 그 사람의 상호와 성명이 기재되어 그 명의자의 문서로 믿을 만한 형식과 외관을 갖춘 이 사건의 경우 사문서위조라고 볼 수 있어(대법원 1989. 8. 8. 선고 88도2209 판결 참조),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도 옳고, 그 판단에 사문서위조 관련법리를 오해한 위법사유도 없다. 상고이유 중에 내세운 판례는 사안을 달리하기에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피고인에게 징역 8월, 2년간 집행유예가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사유는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의 규정상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한다. 상고이유의 주장들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형선(재판장) 이용훈 조무제(주심) 이용우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문서위조죄, 누구의 이름으로 썼는지가 중요합니다!

문서의 제목이나 명칭만으로 작성 명의자를 판단해서는 안 되고, 문서의 형식과 내용, 거래에서의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문서위조#작성명의자 판단기준#문서의 형식과 내용#거래에서의 기능

형사판례

남의 이름으로 서명하면 어떻게 될까요?

다른 사람 행세를 하며 경찰 조사를 받고, 조서에 타인의 서명과 무인을 한 행위는 문서 위조 및 행사죄에 해당한다. 문서가 완성되지 않았더라도, 타인의 서명을 하면 위조죄가 성립한다.

#문서위조#서명위조#무인#사서명위조죄

형사판례

위조 문서, 어디까지 인정될까? - 사문서 위조죄의 성립 기준

타인 명의의 문서를 위조하려면 단순히 이름만 도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진짜 문서로 착각할 만큼 완벽한 형식과 외관을 갖춰야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합니다.

#사문서위조죄#성립요건#타인명의#형식

형사판례

내 이름으로 서명하지 않았어요! - 타인의 이름으로 서명하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경찰 조사에서 자신의 이름 대신 형의 이름을 대고, 피의자신문조서에 형의 서명을 한 행위는 사서명위조죄 및 동행사죄에 해당합니다.

#피의자신문조서#타인 서명#위조죄#사서명위조

형사판례

사문서위조죄, 어디까지 위조여야 죄가 될까요?

사문서위조죄는 문서에 반드시 작성자의 서명이나 날인이 없더라도, 일반인이 작성자의 진짜 문서라고 착각할 정도의 형식과 외관을 갖추면 성립합니다.

#사문서위조죄#성립요건#형식#외관

형사판례

회사 지배인의 문서 작성, 언제 위조죄가 될까?

회사 지배인이라도 내부 규정으로 권한이 제한된 경우, 그 범위를 넘어 회사 명의의 문서를 작성하면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합니다.

#지배인#권한범위#사문서위조#내부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