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사법위반

사건번호:

99도5183

선고일자:

200004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관세사 사무원이 통관수수료 중 일부를 받기로 약정하고 그 관세사에게 업무를 소개·알선하여 준 후 약정금액을 받은 경우, 관세사법 제3조 제2항 위반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관세사 아닌 사람이 관세사가 취급하는 업무의 당사자로부터 받게 되는 통관수수료 중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기로 관세사와 약정하고 그 관세사에게 업무를 소개·알선하여 준 다음 그 약정금액을 받는 행위는 관세사법 제3조 제2항에 저촉된다 할 것이고, 이 경우 그 소개·알선행위를 한 사람이 그 업무를 수임한 관세사의 사무원이라거나 혹은 그와 같은 약정이 보수를 지급받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여 달리 취급할 것이 아니다.

참조조문

참조판례

대법원 1982. 4. 27. 선고 81도2597 판결(공1982, 543), 대법원 1986. 12. 23. 선고 86도1720 판결(공1987, 272), 대법원 1999. 9. 7. 선고 99도2491 판결(공1999하, 2148)

판례내용

【피고인】 피고인 1외 5인 【상고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부산지법 1999. 11. 4. 선고 99노2378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관세사 아닌 사람이 관세사가 취급하는 업무의 당사자로부터 받게 되는 통관수수료 중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기로 관세사와 약정하고 그 관세사에게 업무를 소개·알선하여 준 다음 그 약정금액을 받는 행위는 관세사법 제3조 제2항에 저촉된다 할 것이고, 이 경우 그 소개·알선행위를 한 사람이 그 업무를 수임한 관세사의 사무원이라거나 혹은 그와 같은 약정이 보수를 지급받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여 달리 취급할 것이 아니다(대법원 1986. 12. 23. 선고 86도1720 판결, 1999. 9. 7. 선고 99도2491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과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관세사인 공소외 1 경영의 관세사사무소의 사무원인 피고인들이 위 공소외 1과 사이에 피고인들이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수출입업체의 통관물량을 소개·알선해 주는 대가로 통관수수료 중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공제하는 방법으로 소개·알선료를 가져가고 나머지 통관수수료는 사후에 위 공소외 1에게 입금하기로 약정을 하고, 이에 따라 1996. 7. 1.부터 1998. 10. 31.까지 사이에 각 소개·알선한 사건의 통관수수료 중 30 내지 50%에 해당하는 피고인 1은 금 148,188,427원, 피고인 2는 금 73,298,781원, 피고인 3은 금 36,695,629원, 피고인 4는 금 29,522,460원, 피고인 5는 금 27,875,630원, 피고인 6은 금 18,804,258원을 공제한 나머지 각 금원만을 위 공소외 1에게 입금함으로써 위 각 금원을 소개·알선료로 받은 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원심 판단에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관세사법 제3조 제2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이돈희(주심) 이임수 윤재식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관세사 직무보조자의 고객 유치, 어디까지 허용될까?

관세사 직무보조자가 이직 시 전 직장의 고객을 새 직장으로 데려가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은 공정거래법 위반이 아니다. 하지만 직무보조자의 모든 사건 유치 행위를 금지하는 규정은 일부 위법하다.

#관세사#직무보조자#사건 유치#공정거래법

형사판례

관세사 명의 빌려 통관업? 그냥 불법 통관업과는 처벌이 달라요!

관세사 자격증 없이 다른 사람의 관세사 명의를 빌려 통관업을 한 경우, 무자격으로 통관업을 한 것보다 가벼운 처벌을 받는다.

#관세사#명의대여#통관업#처벌

형사판례

관세사 사무소 직원은 관세포탈죄로 처벌받을까?

관세사 사무소 직원이 수입신고만 하고 관세를 내지 않아 물건을 무단 반출한 경우, 관세포탈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 관세포탈죄는 관세 납부 의무가 있는 사람만 저지를 수 있는 범죄이기 때문.

#관세포탈죄#관세사무소 직원#무죄#신분범

형사판례

변호사 사무원의 사건 알선, 불법입니다!

변호사 사무원이 의뢰인과 변호사를 연결해주고 소개비를 받는 것은 변호사법 위반입니다. 사무원이라는 직책이나 소개비가 변호사 보수의 일부라는 사실은 위법성을 벗어나는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변호사 사무원#사건 알선#소개비#변호사법 위반

형사판례

변호사 사무직원의 사건 알선과 변호사의 수임료 추징 문제

변호사 사무직원이 돈을 받고 사건을 알선하는 것은 불법이며, 변호사도 이를 알고 사건을 수임하면 처벌받습니다. 하지만 변호사가 받은 수임료 자체는 추징 대상이 아닙니다.

#변호사#사무직원#사건 알선#수임료

형사판례

관세사 명의 대여, 어디까지 허용될까?

관세사 자격증이나 등록증을 빌려주는 것만이 명의대여이며, 단순히 무자격자에게 사무소 경영이나 투자를 허용하는 것은 명의대여가 아니다. 하지만 관세사가 형식적으로만 업무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는 무자격자가 관세사 업무를 하는 경우는 명의대여에 해당한다.

#관세사#명의대여#실질적 업무 수행#무자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