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

사건번호:

99도983

선고일자:

199905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후보자가 회계책임자의 입회하에 선거비용을 지출하였다 하더라도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27조 제1항 소정의 예금계좌를 통한 것이 아닌 한 같은 조 제2항, 제3항에 위배되는지 여부(적극) [2] 후보자가 선거구 내 거주자에게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 소정의 금액을 초과하지만 그로부터 받은 같은 금액의 경조품을 제공한 경우,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27조 제2항, 제3항은 "회계책임자는 모든 선거비용의 수입과 지출을 제1항의 예금계좌를 통해서만 하여야 한다.", "회계책임자가 아니면 선거비용을 지출할 수 없다."고 각 규정하고 있으므로 후보자가 비록 회계책임자의 입회하에 선거비용을 지출하였다 하더라도 위 법조 소정의 예금계좌를 통한 것이 아닌 한 위 법조에 위반된다. [2] 후보자가 선거구 내 거주자에 대한 결혼축의금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이 정한 금액인 금 30,000원을 초과하여 금 50,000원을 지급한 사유가 후보자가 모친상시 그로부터 받은 같은 금액의 부의금에 대한 답례취지이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미풍양속으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1]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27조 / [2]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17조의2 , 형법 제2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9. 2. 11. 선고 98노120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127조 제2, 3항은 "회계책임자는 모든 선거비용의 수입과 지출을 제1항의 예금계좌를 통해서만 하여야 한다.", "회계책임자가 아니면 선거비용을 지출할 수 없다."고 각 규정하고 있으므로 후보자가 비록 회계책임자의 입회하에 선거비용을 지출하였다 하더라도 위 법조소정의 예금계좌를 통한 것이 아닌 한 위 법조에 위반된다 할 것이다. 2. 후보자가 선거구 내 거주자에 대한 결혼축의금으로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이 정한 금액인 금 30,000원을 초과하여 금 50,000원을 지급한 사유가 후보자가 모친상시 그로부터 받은 같은 금액의 부의금에 대한 답례취지이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미풍양속으로서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볼 수 없다. 각 위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이를 다투는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신성택 서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철, 후보자도 조심해야 할 기부행위와 선거비용 지출!

선거 후보자가 직접 선거구민에게 식사를 제공하거나 선거비용을 지출한 행위는 불법이며, 설령 후보자가 불법인 줄 몰랐거나 나중에 회계책임자가 승인했더라도 죄가 된다.

#선거법 위반#기부행위#선거비용#공직선거법

형사판례

선거비용, 회계책임자 선임 전에는 내 맘대로 써도 될까?

선거 후보자가 회계책임자를 정식으로 선임하고 신고하기 *전*에는 선거비용을 위한 계좌를 만들어 신고할 의무가 없으므로, 계좌 없이 선거비용을 지출했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

#선거비용#회계책임자#선임 전#예금계좌

형사판례

선거철 금품 제공, 어디까지 처벌될까? - 후보자 배우자의 선거사무원 금전 교부

후보자 배우자가 선거사무원에게 유권자에게 줄 돈을 건넨 행위가 선거법상 기부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다수의견은 기부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반대의견은 단순 교부행위일 뿐 기부행위는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선거사무원#유권자#금전교부#기부행위

형사판례

선거철벽수비! 선거운동 관련 금품 제공, 어디까지 처벌될까?

선거에 출마하려는 사람이 선거운동 관련자에게 돈을 빌려준 것처럼 위장하여 돈을 제공한 경우, 실제로 선거운동에 사용될 목적이 없었더라도,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

#선거운동#금품제공#공직선거법 위반#선거공정성

형사판례

선거철 마을 청소비, 괜찮을까요? - 기부행위 위반 판례 해설

선거 기간 중 연설 후 청소비 명목으로 마을 대표에게 일률적으로 돈을 지급한 행위는 실제 청소 여부와 관계없이 기부행위로 인정되어 처벌받을 수 있다.

#선거#기부행위#청소비#금품제공

형사판례

선거 끝나고 감사 인사, 돈이나 선물 주면 안 돼요!

선거 끝나고 선거구민에게 돈이나 선물 주는 행위는 기부행위제한 위반이면서 동시에 답례금지 위반인데, 이 두 가지 죄는 하나의 행위로 여러 죄가 성립되는 상상적 경합 관계라는 판결.

#선거#금품제공#기부행위제한#답례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