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건축물자진철거명령처분취소

사건번호:

99두2475

선고일자:

199905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소정의 재심사유인 문서의 위조에 형사상 처벌될 수 있는 허위공문서작성도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2]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소정의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이나 과태료의 확정재판을 할 수 없을 때'의 의미 및 범죄의 혐의가 없다는 이유로 불기소처분을 한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소정의 문서의 위조에는 형사상 처벌될 수 있는 허위공문서작성도 포함된다. [2]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소정의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이나 과태료의 확정재판을 할 수 없을 때'라 함은, 증거흠결 이외의 사유, 즉, 범인의 사망, 사면, 공소시효의 완성, 심신상실의 경우 등이 없었더라면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었을 경우를 말하므로, 허위공문서작성의 피의사건에 관하여 범죄의 혐의가 없다는 이유로 불기소처분을 한 경우는 본조 제2항에서 말하는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을 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2]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2. 9. 28. 선고 81다557 판결(공1982, 1007), 대법원 1990. 8. 14. 선고 89다카6812 판결(공1990, 1950),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15470 판결(공1997하, 2705) /[2] 대법원 1975. 5. 27. 선고 74다1144 판결(공1975, 8541), 대법원 1981. 9. 22 선고 81다319 판결 대법원 1985. 11. 26. 선고 85다418 판결(공1986, 113),, 대법원 1985. 11. 26. 선고 85다418 판결(공1986, 113), 대법원 1998. 3. 24. 선고 97다32833 판결(공1998상, 1140), 대법원 1998. 12. 22. 선고 98두15429 판결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논산시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홍용표) 【원심판결】 대전고법 1999. 1. 8. 선고 97재구3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6호 소정의 문서의 위조에는 형사상 처벌될 수 있는 허위공문서작성도 포함되나(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15470 판결 등 참조), 같은 조 제2항 소정의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이나 과태료의 확정재판을 할 수 없을 때'라 함은, 증거흠결 이외의 사유, 즉, 범인의 사망, 사면, 공소시효의 완성, 심신상실의 경우 등이 없었더라면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었을 경우를 말하므로, 허위공문서작성의 피의사건에 관하여 범죄의 혐의가 없다는 이유로 불기소처분을 한 경우는 본조 제2항에서 말하는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을 할 수 없는 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81. 9. 22. 선고 81다319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읍 소속공무원인 소외 1은 이 사건 화장실은 원고 명의로 재산세과세대장에 등재된 논산시 (주소 1 생략) 지상 화장실과 다른 것임에도 그와 동일한 것으로 오인하고 그와 같은 취지로 을 제2호증의 7을 작성하였는데, 위 소외 1은 위와 같이 착오에 의하여 사실과 다른 공문서를 작성하였다는 이유로 허위공문서작성의 점에 대하여 혐의 없음 결정을 받았다는 것인바, 그렇다면 위와 같은 경우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소정의 '증거흠결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이나 과태료의 확정재판을 할 수 없을 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박준서(주심) 신성택 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위조/변조 문서와 허위 증언, 재심 사유가 될까?

재심은 확정된 판결에 중대한 잘못이 있을 때 다시 판단하는 제도입니다. 이 판례는 위조/변조된 문서나 증인의 허위진술이 있더라도, 그것이 판결 결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쳤을 때에만 재심 사유가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단순히 위조/변조 또는 허위진술이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재심#위조/변조 문서#허위진술#판결 영향

형사판례

서류 변조에 대한 불기소처분과 재심

단순히 공소시효 만료로 인한 불기소처분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으며, 범죄사실이 실제로 존재했었다는 것을 추가로 입증해야 합니다.

#재심#불기소처분#공소시효#증거

민사판례

재심, 위조된 증거 또는 허위 진술이 있어야 가능할까?

재판에서 위조된 문서나 허위 진술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그 문서나 진술이 판결의 핵심 증거로 사용되어 판결문에 명시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판사의 생각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만으로는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위조문서#허위진술#판결문 명시

민사판례

재심, 그 복잡한 이야기를 풀어봅니다

농지분배 소송에서 승소한 원고에 대해, 국가가 위증과 허위 공문서 작성을 이유로 재심을 청구한 사건. 대법원은 원심이 재심 사유를 제대로 판단하지 않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농지분배#재심#위증#허위공문서

상담사례

위조된 증거로 받은 판결, 뒤집을 수 있을까요? (재심 가능성)

민사소송에서 위조된 증거로 패소했고 위조범에 대한 공소시효가 지났다면, '증거 부족 외의 이유'로 유죄판결을 받을 수 없게 된 경우에 해당되어 재심 청구가 가능하다.

#재심#위조증거#민사소송#공소시효

민사판례

위증이 재심 사유가 되려면?

재판에서 증인이 거짓말을 했더라도, 그 거짓말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면 재심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재심 여부를 판단할 때는 기존 판결의 증거뿐 아니라 재심 재판에서 새롭게 제출된 증거까지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재심#위증#허위진술#판결 영향